[이런말저런글]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조금 못마땅합니다. 가랑비는 그래도 굵은 편이어서 젖는 줄 다 알거든요. 경험칙입니다. 가랑비보다 가는 비가 있어요. 이슬비입니다. 이슬비가 가늘다고 하지만 는개보다는 또, 굵답니다. 는개도 안개비(霧雨. 무우)보다는 굵다고 하고요. 굵기 순으로는 가랑비 → 이슬비 → 는개 → 안개비가 됩니다. 안개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고 속담을 '교열'할까 싶습니다. 그러나 한자로 가는 비, 즉 세우(細雨)라 쓰는 것은 가랑비라고 사전은 전합니다. 역시나 가는 비의 대명사는 가랑비였네요. 경솔했습니다.
비를 이르는 낱말은, 우수수 부지기수입니다. '보슬비가 소리도 없이 이별 슬픈 부산 정거장'이라는 노랫말에서 보슬비의 뜻을 유추합니다.
바람이 없는 날 가늘고 성기게 조용히 내리는 것이 보슬비임을요. 최백호는 궂은비 내리는 날 그야말로 옛날식 다방에 앉아 '낭만에 대하여 노래합니다. [끄느름하게 오랫동안 내리는 비] 소리를 들으며 다방에서 마시는 위스키 맛을 무엇에 견주겠습니까. 비는 기상에 영향받는 농사일에도 얽혀 있습니다.
'여름비는 잠비 가을비는 떡비'라 하여 여름에 비가 오면 농사일 않고 낮잠을 자게 되고, 가을에 비가 오면 떡을 해 먹게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또 모종 가꾸기에 알맞은 때 오는 모종비, 모낼 무렵에 한목 오는 목비, 모를 다 낼 만큼 충분히 오는 못비가 있고요.
여우비는 쓰임이 쏠쏠한 단어입니다. 볕이 나 있는 날 잠깐 오다가 그치는 비. 처마 밑에서 가슴 펴고 숨 몇 번 크게 고르면 여우는 지나갑니다. 우산 없다고 낙담 말고 여유를 갖습니다.
작달비는 우산 있어 봐야 소용없습니다. 장대처럼 굵고 거세게 좍좍 내립니다. 장대비와 같습니다.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는 강원도 강릉에 비가 제법 내렸습니다. '단비'라 표현되고 있네요. 필요한 때에 알맞게 내리는 비 말입니다. 단비는 달곰한 비라 하여 감우(甘雨)라고 합니다. 때맞추어 잘 내리는 좋은 비여서 적우(適雨), 호우(好雨) 하고요. 농작물이 잘 자라게 제때 내리는 비라고 보면 고우(膏雨), 영우(靈雨)라 할 수 있습니다.
꿀맛 같은 비라 하여 꿀비(북한어), 약 같은 비이니까 약비, 복을 주는 비이므로 복비라 하는 것이 더 와닿긴 합니다. 모쪼록 강릉 땅에 단비가 주룩주룩 오기를 비옵니다, 비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