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대중국 HBM 수출 비중 적어…SK하이닉스, HBM 전량 미국 공급

구형 'HBM2·2E' 포함 여부 주목…정부·업계, 美 조치 면밀히 검토

"HBM2·HBM2E 수익성 높지 않아 영향 미미…HBM3E에 집중해야"

미국이 대(對)중국 반도체 추가 통제 조치로 중국 기업에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반도체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의 이번 조치가 국내 업계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전 세계적인 HBM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는 게 업계 안팎의 시각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2일(현지시간) 중국 수출통제 대상 품목에 특정 HBM 제품을 추가한다고 관보를 통해 밝혔다. HBM 수출통제는 오는 31일부터 적용된다.

상무부는 HBM의 성능 단위인 '메모리 대역폭 밀도'(memory bandwidth density)가 평방밀리미터당 초당 2기가바이트(GB)보다 높은 제품을 통제하기로 했다. 사실상 최신 제품인 HBM3E(5세대)·HBM4(6세대) 제품이 주요 대상이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만든 고성능 메모리로 AI 가속기를 가동하는 데에 필요하다. 전 세계 HBM 시장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마이크론이 장악하고 있는 상태다.

일각에서는 중국에 HBM 일부를 수출하는 삼성전자가 이번 통제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삼성의 중국 수출 비중이 그렇게 높지 않고, 전 세계적인 공급망을 갖추고 있어 이번 조치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도 이날 연합뉴스에 "SK하이닉스는 대부분 HBM을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고, 삼성전자가 일부 사양이 낮은 HBM을 중국에 수출하지만 매출 대비 비중은 작은 것으로 안다"며 "전체적으로 한국 기업에 끼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파악한다"고 전했다.

앞서 외신과 업계 등에서 삼성전자의 HBM 대중국 수출 비중이 30%에 달한다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실제로는 이보다는 낮은 20% 수준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수출 제한 조치를) 면밀히 검토 중이며 관련 기관과 잘 협의해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자료는 150페이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정부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삼성전자는 실제 규제 대상에 포함되는 HBM 품목과 유예 기간, VEU(Validated End-User·검증된 최종 사용자)과 같은 예외 조치 등을 꼼꼼히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이번 미국 조치의 상세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 오는 4일 오전 반도체 업계와 간담회도 열 계획이다. 또 한국반도체산업협회(KSIA)와 무역안보관리원(KOSTI)에 '수출통제 상담창구'도 개설해 운영할 예정이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HBM3E와 HBM4는 당연히 규제 대상이고, 2세대·3세대 제품인 HBM2·HBM 2E가 포함되는지를 중요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설령 HBM2, HBM2E가 포함되더라도 삼성이 중국에 파는 물량이 얼마 되지 않고, 저가형 제품이기 때문에 매출에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삼성 입장에서 주요 이슈는 수익성이 높지 않은 HBM2·HBM2E의 중국 수출 제한이 아니다"라며 "AI용 첨단 제품인 HBM3E와 HBM4를 빨리해서 (엔비디아와 같은) 미국에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현재 HBM 전량을 미국에 공급하고 있으며 생산량이 미국 내 수요를 못 따라가고 있어 당장은 별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내년 물량까지 '완판'한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수요도 다 못 채울 정도의 수준이어서 중국 수출 규제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삼성은 (중국 수출 제한과 같은)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HBM3E부터 나아가 HBM4에서 미국 빅테크를 뚫어 공급망을 더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규제가 전 세계 HBM 시장 파이 자체를 축소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이 세계 반도체의 절반을 소비하는 최대 시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업 입장에서도 우려가 클 수 있다는 해석이다.

HBM 시장 3위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마이크론의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7월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미중무역전국위원회(USCBC) 이사회 대표단 집단 면담에 참가해 협력을 논의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업체별로 상황이 다를 순 있으나 기본적으로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제한적일 것"이라며 "다만 HBM 시장이 더 커져야 하는 상황에서 (이번 조치로)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차대운 강태우 기자 burni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