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이 화두다. 이곳저곳에서 행복을 말한다. 사람은 존재론적으로 행복을 갈구한다. 인간의 노력과 행동은 본능적으로 행복을 구하는 심리와 연결되어 있다. 재물, 지위 그리고 영향력도 행복을 위해 필요하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건강한 행복관이다. 행복은 만족, 재미, 의미 혹은 보람이 있는 상태다. 행복은 행복을 낳는다. 진정한 행복은 삶을 건강하게 가꾼다.
3월 20일은 UN이 정한 ‘세계 행복의 날’이다. 매년 행복의 날에 UN은 '세계 행복보고서'를 발표한다. 이 보고서는 매년 국내총생산(GDP), 기대수명, 사회적 지지, 자유, 부정부패, 관용 등을 조사해 행복지수 순위를 발표한다. 2021년에 한국은 62위다. 놀랄 만큼 초라하고 부끄러운 성적이다. 더 심각한 것은 순위 추락이다. 2013년에 41위, 2015년 47위, 2016년 58위, 61위(2020년)다. 한국의 행복 급추락중이다. 행복은 더 갈구하는데 행복지수는 추락하니 자살이 늘어난다. 자살률 1위는 우연이 아니다!
한국 경제 수준은 세계 12위권 정도다. 국토, 지정학적 위치, 인구 등의 요소들을 고려할 때 엄청난 성적이다. 그런데 우리 행복 지수는 형편없다. 한국 사회에 행복을 가로막고 있는 행복 장애물들이 있다. 우리 행복을 가로막는 행복장애물들이 무엇일까? 우리들의 행복 장애물을 살펴보자.
첫째 갈등지수가 높다. 한국사회는 갈등사회다. 한국 문화는 갈등을 조장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사회통합지수 개발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사회통합지수가 턱없이 낮다. 한국사회의 갈들이 우리 행복을 가로막는다. 그런데 갈등을 해소해야 할 지도자들이 갈등을 조장하고 갈등을 먹고 살고 있다.
둘째, 기부지수가 낮다. 영국자선지원재단(CAF)은 매년 ‘세계기부지수(World Giving Index)’를 발표한다. 각국의 천명을 조사해 1년 동안 낯선 사람을 도와준 경험, 기부경험, 자원봉사시간 등에 대한 종합평가다. 대한민국 기부지수는 60위다. 낮은 기부지수는 낮은 행복이다. 나눔이 행복이다.
셋째, 신뢰지수가 낮다. OECD가 발표하는 “한눈에 보는 사회상(Society at a Glance)”보고서는 타인과 공적기구에 대한 신뢰 지수를 밝힌다. 한국은 타인 신뢰도(26%)가, OECD 회원국 평균치(36%)보다 훨씬 낮다. 덴마크(75%)를 비롯한 행복 선진국들은 신뢰지수가 아주 높다. 신뢰지수가 낮은 사회는 갈등이 활화산처럼 터진다. 신뢰가 없는 사회는 갈등하고 갈등이 있는 곳에 불행이 자란다.
노르웨이와 덴마크 등 북유럽 행복 선진국 거리에서 자물쇠를 채우지 않은 자전거가 흔하다. 아기를 태운 유모차를 바깥에 두고 카페에서 마음 편하게 커피를 마시며 대화하는 엄마들도 흔히 만난다. 사회와 이웃에 대한 높은 신뢰도 때문이다. 행복 선진국은 신뢰 선진국이다.
경제 강국이 되고, 한류가 세계를 주름잡아도, 대한민국은 행복 후진국이다. 정치 목적은 한마디로 국민을 행복하게 하는 일인데 정치뉴스는 불행공장이다. 국민들 행복을 짓밟은 지도자들이 많다. 갈등을 줄이고, 욕심을 버리고, 서로 신뢰하는 행복 사회를 기도한다.
2021-08-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