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원 노동법 변호사는
서울대 인문대학 학사·석사, USC에서 석사를 받았다. 이후 LA의 사우스웨스턴 로스쿨을 거쳐 지난 2007년 변호사 라이센스를 받고 2014년부터 LA 한인타운에서 개업 중이다.
2025-10-03 00:00:00
코인 론드리는 많은 한인 고용주들이 기계 관리에만 신경 쓰다가 종업원으로부터 노동 법, 고용법 소송을 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특히 코인 론드리는 초기 투자비용이 많은 편이라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한데, 최소 한의 노동법 준수사항도 지키지 않아 손해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코인 론드리를 전주인 으로부터 구...
2025-09-19 00:00:00
불법 체류(불체) 직원들로부터 소송이나 상해보험 클레임을 당한 클라이언트들은 그들이 클레임들을 제기할 수 없다고 착각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직원의 이민 지위와 상관없이 주 법원이나 주 상해보험국에 이런 소송이나 클레임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런 사실을 알고 나면 클라이언트들은 크게 실망한다. 더구나 소송에서 그런...
2025-09-05 00:00:00
미국은 다종교 국가이기 때문에 직원의 종교적 신념을 최대한 배려해 줘야 한다. 직원들의 직장 내 종교 행위를 못하게 할 경우 정신적 충격을 받을 수도 있고 차별이나 종교 탄압, 보복을 당했다고 클레임도 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캘리포니아주의 공정고용주택법(FEHA)에 의하면 고용주는 종업원들에게 "종교적 행위 를 꼭 지켜야 하냐"...
2025-08-22 00:00:00
종업원이 캘리포니아주 노동청에 임금 관련 클레임을 제기하면 노동청 관리가 일단 고용주에게 클레임 통지서를 보낸다. 전 직원이나 현 직원이 노동청에 클레임을 접수시키면 고용주는 노동청으로부터 클레임에 대한 편지를 먼저 받는다. 이 편지는 언제 어디서 컨퍼런스가 열린다는 내용과 무슨 서류 들을 가지고 참석한다는 사항이 적혀 있다. 이 컨퍼런스...
2025-08-08 00:00:00
직장 내 도난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절도 사건에 연루된 직원에 대한 처리 문제를 놓고 업주들의 문의가 급증한다. 그런데 무조건 해고했다가 소송을 당하는 고용주들이 많다. 미 주류 사회의 업주 95% 정도가 직원들의 절도 사건을 경험하고 있으며, 직장인 중 약 75%가 한 번 이상 직장에서 절도 행위를 한 적이 있을 정도다. 종업원이 회사 물건을 훔...
2025-07-25 00:00:00
지난 16일 매사추세츠 폭스보로의 질레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콜드플레이 공연에서 테크 기업 아스트로노머의 CEO와 인사총괄 책임자 (CPO)의 불륜이 전세계에 중계되 면서 다시 한번 사내 연애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직장내 연애는 미국에서 증가하고 있고 문제점들도 늘어나고 있다. 다음은 고용주들이 직장 내 연애에 대해 주의해야 할 점들이다. 1.직장 내 ...
2025-07-11 00:00:00
LA시와 LA카운티 그리고 캘리포니아주 도시들의 최저임금이 지난 7월 1일부터 일제히 인상됐다. LA시의 고용주들은 LA시 최저임금 인상 조례에 따라 지난 7월 1일부터 직원 수에 관계 없이 최저임금을 기존 시간당 17달러28센트에서 17달러87센트로 인상했다. 그리고 독립적인 시정부가 없는 LA 카운티의 직할시 지역(unincorporated...
2025-06-27 00:00:00
종업원이 다치지도 않았는데 상해보험 클레임을 제기한 상황에서 종업원 상해보험 (Workers Compensation Benefits Insurance)이 없으면 어떻게 대처하는지 난감하다. 종업원 상해보험이 있다면 상해보험 회사에 클레임이 들어왔다고 알려주시면 보험회사에서 알아서 대응을 한지만 문제는 상해보험을 안 ...
2025-06-13 00:00:00
종업원 상해보험 클레임을 제기한 다음에 추가 클레임을 하는 데 그 가운데 최근 부쩍 증가하고 있는 것이 '심각하고 의도적인 부당행위 클레임'(Serious & Willful Misconduct: S&W)이다. S&W 클레임은 가주노동법 4553 조항을 따서 '4553 클레임'...
2025-05-30 00:00:00
종업원이 근무 중 다친 상태가 그리 심하지 않다 하더라도 이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면 안 된다. 종업원의 잘못으로 다쳤다 하더라도 상해보험청구 양식인 릫DWC 1 Form릮을 제공하지도 않으면 종업원으로부터 상해보험 청구를 하게 제공해주지 않았다는 이유로 과실 소송 (negligence lawsuit)을 당할 수 있다. 즉, 종업원 상해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