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전쟁의 승자는 중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아쇠를 당긴 미국·캐나다·멕시코 간 무역전쟁에서 중국이 승자가 될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미국 경제매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의 조슈아 멜처 선임연구원은 5일(현지시간) 북미 무역을 주제로 한 연구소 주최 행사에서 "확실히 분명한 것은 (미국이 멕시코·캐나다에 부과한) 25% 관세가 경제 성장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점"이라며 "이는 물가를 상승시키고 일자리와 임금도 감소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 '자녀들 美시민권자' 부통령 사의

    이란 정계의 대표적 온건 개혁파 인사로 꼽히는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부통령(65)이 3일 사의를 밝혔다. 미국 유학파 출신인 자리프 부통령은 미국에서 태어난 두 자녀가 미국 시민권을 보유한 이중 국적자라는 사실에 강경파가 강하게 반발하자 버티지 못했다.

  • "100년 전에 받은 메달인줄 알았다"

    지난해 파리 올림픽과 패럴림픽에서 받은 메달이 손상돼 교체를 요청한 사례가 220건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매체 인사이드더게임즈는 4일 프랑스 파리조폐국 발표를 인용해 "파리 올림픽과 패럴림픽에서 수여한 5천84개의 메달 가운데 220건의 교체 요청이 접수됐다"며 "이는 전체의 4%에 해당한다"고 전했다.

  • 3주새 80여명 사망 '죽음의 협곡'

    전 세계적인 관광지 중 한 곳인 남비 볼리비아의 우유니 소금사막 인근 산악 도로에서 또 버스가 추락해 25명이 숨졌다.  . 3일 볼리비아 검찰에 따르면 이날 새벽 남부 포토시~오루로 연결 도로를 달리던 버스가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과 충돌하면서 800m 깊이 협곡 아래로 추락했다.

  • 5년만에 문열고 3주만에 닫았다…왜?

    코로나19 사태 이후 5년 만에 처음으로 최근 서방 단체 관광객을 받아들인 북한이 이를 돌연 중단했다고 AFP와 교도통신이 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영국인 소유 북한 전문 여행사 고려투어는 이날 홈페이지와 페이스북 등을 통해 "나선 관광이 일시적으로 폐쇄됐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 "북한군 3천500명 러시아 극동서 현지적응훈련…3차파병 가능성"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5일 "북한군 3천500여명이 러시아 극동 지역 5곳에서 현지 적응훈련을 받고 있고 3차 파병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출장을 다녀온 유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우크라이나 정보총국장인 키릴로 부다노프 중장이 현지에서 진행한 북한군 관련 브리핑을 소개하며 이같이 전했다.

  • "협상 준비돼" 젤렌스키 백기투항…트럼프와 다시 테이블에 앉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후 안보보장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었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 테이블에 앉을 준비가 됐다"는 서한을 보내온 것으로 알려지면서 귀추가 주목된다.

  • 독일서 또 차량돌진…2명 사망, 11명 부상

    3일 낮 12시15분께(현지시간) 독일 남서부 만하임에서 차량이 행인을 향해 돌진해 2명이 숨지고 11명이 다쳤다고 dpa통신 등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사건은 만하임 시내 한복판 광장인 파라데플라츠 인근의 보행자 전용구역에서 발생했다.

  • 우크라 北포로 "필요한 집과 가족 이루며…한국 꼭 가고 싶다"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포로 리모씨가 "한국으로 꼭 가고 싶다"며 귀순 의사를 밝혔다고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이 4일 전했다. 유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우크라이나에서 면담한 북한군 포로 두 명의 사진과 육성 녹음 파일을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 이스라엘 '지옥계획' 추진…살얼음판 가자휴전 결국 깨지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이어온 불안한 휴전이 점점 깨질 위기로 치닫고 있다. 종전을 향한 휴전 협상의 개시를 둘러싼 양측의 견해차가 접점을 잃자 양측은 모두 교전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3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1단계 휴전이 이미 만료된 가운데 철군 없이 추가 인질석방을 끌어내려고 가자지구 봉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