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천/치과의
하루는 김삿갓이 배도 고프고 날이 저물자 하룻밤 묵고 갈만한 집을 발견하고는 문을 두드렸다. 때 마침 나온 사람은 모친상을 당한 상주였다.
배가 고파 먹을 것을 청하는 김삿갓에게 "시장하실 테니 없는 찬이나마 식사 대접은 하겠습니다." 하지만 자신은 본디 신분이 천하여 글을 몰라 모친이 돌아가신 것을 알리지 못해 안타까운 신세니 부고 한 장 써 줄 것을 간청했다.
그러자 김삿갓은 "그거야 어려운 일이 아니요, 내가 써 주리다."하고는 차려 준 밥을 허겁지겁 먹고 나서 '연월일시(年月日時)에 류류화화(柳柳花花)!'라 써 주었다. 직역하면 '모년 모월 모일 모시에 버들버들 꽃꽃'이니 '버들버들 하던 몸이 꼿꼿하게 죽었다'는 뜻이었다. 그러고 보면 류화(柳花)란 삶과 죽음을 일컫는 말인 셈이다.
고구려를 세운 고주몽 모친의 이름도 류화(柳花)였다. 그래서 그랬는지 고구려는 몇 번의 천도 끝에 버들이 우거지고 꽃이 만발한 마을을 찾아 류화(柳花)라 하고 수도를 정해 류경(柳京)이라 불렀는데 이가 오늘의 평양이다.
후에 고려를 일으킨 왕건의 버드나무 이야기 또한 널리 알려진 바다. 왕건이 임금이 되기 전 싸움터에서 돌아갈 때 목이 말라 우물가의 여인에게 물을 청했다. 그 여인은 물 한 바가지를 떠서 옆에 있던 버드나무 잎을 띄워 건넸다. 물을 마신 왕건이 그 연유를 묻자 급히 마시면 체할까 염려되어 버들잎을 불면서 천천히 마시게 하기 위해서였단다. 그 슬기로움에 감복한 왕건은 후에 그녀를 제2왕비로 맞아들였다는 얘기다.
버드나무는 평양에서도 특히 대동강변에 많다고 한다. 해서 조선중기 시인 임제는 대동강 가에서의 버드나무를 꺾어 주며 헤어지는 연인들의 안타까운 마음을 노래했다.
'이별하는 사람들이 날마다 꺾는 버들/천 가지 다 꺾어도 가는 님 못 잡겠네./어여쁜 아가씨들 눈물 탓인 듯/해질 무렵 부연 물결도 시름에 잠겨 있네.'
봄이 오면 버드나무는 다른 식물보다도 먼저 연둣빛 푸른 새싹을 내며 봄의 전령사 노릇을 한다. 해서 봄을 '유색(柳色)'이라고도 한다.
드디어 무르익어 가는 유색의 봄날, 소녀시대 멤버 서현이 평양에서 '푸른 버드나무'를 노래했다.
'나무야 시내가의 푸른 버드나무야/ 너 어이 그 머리를/ 들 줄 모르느냐?'
서정적인 가사의 이 노래는 김일성 주석이 생전에 지시해 만든 노래라 한다.
오는 2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열릴 남북 정상회담의 성공을 기원하는 서막으로 열린 남한 예술단의 이번 공연은 마침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도 열려 그 의미를 더했다. 모쪼록 이번 공연을 통해 북녘 동포들 마음도 대동강물 풀리듯 녹았으면 한다.
하지만 해빙무드에 젖어 급하게 서두르다 체하기보다는 임제가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주며 속히 돌아오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듯이 여유를 가지고 남북 모두가 하나가 되길 희망해 본다.
이번 평양 무대에서 펼쳐진 공연 시기가 마침 부활절인데다가 그 제목 또한 '봄이 온다'라고 하지 않았던가?
2018-04-03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