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한국인이면 누구나 아는 노래 아리랑. 부를수록 정겹고 감미로운 우리만의 느낌을 솟아나게 하는 우리민족의 대표적인 노래다.
헌데 아리랑은 강원도 정선아리랑을 비롯 경상도 문경 아리랑, 밀양 아리랑, 전라도의 진도 아리랑, 경기 아리랑 더 나아가 조선족 아리랑, 러시아로 쫓겨간 까레이스키의 아리랑, 또한 멕시코 사탕수수 농장에 팔려간 조선인 노동자 애니깽 아리랑까지 그 가락이 다양하다.
그 가락만큼이나 아리랑의 유래에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아리랑'이란 말은 '아리고 쓰린 우리네 척박한 삶'에서 나왔다고 한다. 특히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힘들고 고된 강제노동에 동원되어 매일 반복되는 중노동에 시달린 백성들이 오랜 고독 끝에 고향에 두고 온 부모와 처자를 그리워하며 자신의 처량한 신세타령 조의 말들: '아이롱'(귀가 먹어 아무 것도 못 들었으면), '아이랑'(님과 이별하네) 혹은 돌아가기 어려운 처지를 빗댄 '아난리'(떠나기가 어렵네) 등이 변해서 된 말이라고도 한다.
반면에 양주동 박사는 아리랑은 미래가 밝은 민족이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우리민족이 북방에서 한반도로 이주해 올 때 온 세상이 밝게 내려다보이는 아리령 고개 넘어 미래를 안고 왔는데 아리령의 '아리'가 밝음을 뜻하기 때문이란다. 심지어 미국의 여류 저널리스트 님 웨일스는 저서 '아리랑'에서 '아리랑은 자유와 해방을 향한 인본주의 사상의 발로'라고 까지 했다.
그럼에도 아리랑이 그 가락에 아름답지만 슬픔이 깃든 것은 건널 수 없는 이별공간을 사이에 두고 떠나는 사람과 보내고 싶지 않은 사람 간의 아프고 쓰린 민족의 한의 정서가 녹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난3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유람선 침몰 사고가 난 다뉴브 강 가에서 비통한 아리랑 선율이 흘렀다. 수백 명의 헝가리 인들이 모여 아리랑을 부른 거다. 비록 가사의 뜻을 잘 알지 못하고 서투른 발음이었지만 슬픔의 북받침과 간절함을 담은 그들의 아리랑 노래는 인간에 대한 예의이자 죽음에 대한 애도였을 거다.
'아름답고 푸른 다뉴브 강'이 하루아침에 '눈물의 다뉴브 강'으로 변해버린 이번 참사에서 희생자들의 사연들이 가슴을 때린다. 그 중에는 6살 난 한국인 소녀도 있었다. 비록 시대와 사연은 다르지만 시인 김춘수의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이 떠오른다.
시인은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소련군 탱크에 짓밟혀 죽은 한 소녀를 애도하며 이렇게 노래했다. '너는 열세 살이라고 그랬다. 네 죽음 앞에서는 한 송이 꽃도 흰 깃의 한 마리 비둘기도 날지 않았다. 네 죽음을 보듬고 부다페스트의 밤은 목놓아 울 수도 없었다'라고 말이다.
그곳에서 울려 퍼진 아리랑은 희생된 이들의 영혼을 달래는 진혼곡이자 이별의 아픔을 감내해야 하는 유가족들을 위로하는 이별가였을 거다. 다뉴브 강에는 'Forget-me-not (날 잊지 말아요)'라는 물망초의 꽃말의 이야기가 전해 온다. 이와 유사한 우리네 정선 아리랑의 애절한 사랑의 전설과도 연이 다은 다뉴브의 아리랑을 통해 그들은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희생자들에게 애도를 표한다.
2019-06-11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