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에 가장 유명한 부자는 경주 최씨 집안입니다. 신라의 최고 문장가 최치원 후손입니다. 최치원 17대손 최진립과 그의 아들 최동량이 큰 재산을 모았고, 28대손 최준까지 12대 300여 년에 걸쳐 조선 최고의 부자라는 명성을 누렸습니다. '부자가 3대를 넘기기 어렵다'고 하는데 12대에 걸쳐 300년간 만석(萬石)군 자리를 지켰습니다.
최씨 집안이 12대 동안 재산과 명성을 지켜낼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사람들은 한결같이 '품격있는 최씨 집안의 가풍'이 부와 명성의 비결이라고 합니다. 최부잣집의 가풍으로 전해지는 6가지 가훈이 있습니다.
가훈 6가지 중 첫 번째는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의 벼슬은 하지 말라'입니다. 조선시대는 양반사회로 신분을 유지해야 부를 축적하고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최소 소 과거인 생원과나 진사과에 급제해야 했습니다. 반대로 벼슬이 높아지면 권력을 탐하게 되는데, 잘못하면 투쟁에 휘말려 가문이 몰락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욕심 없는 현상유지를 가르쳤습니다.
두 번째 가훈은 '재물을 모으되 만 석 이상을 모으지 말라'입니다. 만약 욕심을 부렸다면 최씨 집안은 더 많은 재물을 모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만 석 이상을 모으지말라고 한 것은 그 이상의 재물을 소작인들에게 돌려주기 위해서였습니다. 다른 땅 주인들은 수확물의 7, 80퍼센트를 소작료로 받았는데, 최부잣집은 50퍼센트나 그 이하로 받았답니다.
세 번째 가훈은 '손님이 찾아오면 후하게 대접하라'입니다. 당시에도 주막이나 객사 같은 숙박시설이 있었지만, 부잣집 사랑채에서 하룻밤을 묵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최부잣집은 일 년에 소작료를 쌀 3천 석쯤을 거두어들였는데, 그중에 1천 석은 집안 식구들의 양식으로 썼고 나머지 2천 석은 손님 접대와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데 사용했다고 합니다.
네 번째 가훈은 '흉년에는 땅을 사지 말라'입니다. 흉년이 들면 사람들은 굶주림을 면하려고 싼값에 땅을 내놓았고 부자들은 이때다 싶어 헐값에 땅을 사들여 재산을 불렸습니다. 그러나 최부잣집에서는 남의 약점을 이용해 재산을 늘리지 않았습니다.
다섯 번째 가훈은 '며느리들은 시집온 뒤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입니다. 최부잣집 사람들은 근검절약 정신이 투철했습니다. 그래서 보릿고개 때에는 쌀밥을 지어 먹지 않았고 은수저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한 시집온 며느리에게는 3년 동안 무명옷을 입게 했습니다.
마지막 여섯 번째 가훈은 '사방 백 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입니다. 최부잣집에서는 이웃의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일에 앞장섰습니다. 사방 백 리 안의 사람들을 고향 사람으로 여기고 보살폈습니다. 이웃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덕을 베풀었습니다.
최 부자 집안은 그야말로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품격을 가진 집안입니다. 가진 자들의 사회적 책임을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라고 합니다. 프랑스어로 노블리스는 사회적 지도층을 지칭하고 오블리제는 도덕적인 책임을 뜻합니다. 노블리스 오블리주는 귀족들의 의무로 가진 사람들의 사회적 책임입니다. 품격있는 사회는 노블리스 오블리주가 전통으로 지켜집니다. 국가의 품격도 노블리스 오블리제에서 결정됩니다. 희생이 없는 지도력은 불신과 위화감을 낳습니다. 한국 고위직 청문회를 보면서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생각합니다.
2021-05-10 09:3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