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에서는 미라(Mummy)와 함께 매장하는 두루마리가 있었는데 죽은 자 즉, ‘사자(死者) 의 서(書)’’라 한다. 사람이 죽으면 육신과 영혼이 분리된 후 영혼이 잠시 저승으로 가서 육신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는지 아니면 못 돌아오고 영원한 죽음으로 갈 지 판결을 기다리게 된다.
그러는 동안 지상에 남은 미라를 온전하게 보존하면서 심판받으러 저승으로 가는 영혼을 위한 주술, 서약 그리고 기도서 등을 써놓은 일종의 사후세계 안내서가 ‘사자의 서’인 거다. 이 안내서는 육체와 분리된 영혼이 저승에서 시신 방부처리 즉 미라를 관장하는 신(神)의 손을 잡고 안내받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영생을 향한 여행길에 오른다.
이러한 미라를 비롯해 사람이 죽은 후 장례를 마치고 시신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장묘문화는 각 지역과 시기, 종교별로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예들 들면 자연장, 풍장(風葬), 조장(鳥葬), 수장(水葬), 납골장, 수목장, 매장, 화장 등이다.
바이킹들은 전투 중에 사망한 이들의 시신을 불붙은 배에 태워 바다로 떠나보냈다. 체로키 인디언들은 강에 흘려보냈다. 수장이다. 그런가 하면 티베트인들은 주로 새 먹이로 내어 놓는 조장을 했다. 이는 망자의 넋이 새와 함께 하늘에 오른다는 믿음에서 가는 이에게 마지막으로 공덕을 쌓으려는 풍습이었던 거다.
이렇듯 장례법이 다르긴 하나 그 주를 이루는 건 매장과 화장이다. 화장은 우리에겐 불과 한 세대 전만 해도 거부감이 컸었지만 지금은 대세라고 한다. 헌데 근자에 와서 대두된 장례의 또 다른 화두가 기후변화 위기와 친환경론에 따른 이른바 ‘녹색 죽음’이라고 하는 장례, 퇴비장이다.
LA에서 장의사로 일하고 있는 케이틀린 도티는 죽음에 관한 역사와 문화에 대해 공부를 마친 후 한 동안 화장터 업체에서 일했다. 또한 다른 문화권의 시신 처리하는 풍습을 알기 위해 여러 나라들을 돌며 경험한 색다른 장례 의식들을 통해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획일화된 장례 문화에 문제를 제기하는 책을 펴내기도 했다.
그녀가 쓴 기이한 여행기랄 수 있는 이 책 속에 수록된 많은 이야기들 중에는 시신들이 썩어 퇴비가 되는 사례도 있었는데 실제로 2019년 워싱턴주가 시신을 퇴비화하는 방식을 합법화한 후 콜로라도, 오레곤, 버몬트 등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지난 달 20일 마침내 캘리포니아도 인간 시신을 거름용 흙으로 만드는 퇴비장 법안을 통과시켰다. 일명 ‘인간 퇴비화 매장’ 장례식으로 2027년부터 시행된다. 시신을 철제 용기에 담아 풀, 나무, 짚 등을 섞어 미생물이 자연분해하도록 해서 퇴비용 흙으로 만드는 방식이다.
이는 폭염, 산불, 가뭄 등 기후가 갈수록 극한 환경으로 바뀌는 현실에서 방부 처리를 위해 화학물질을 사용하거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매장이나 화장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이란 평가다.
이 방법을 선택할 권리는 고인과 유족에게 있고 퇴비용 흙을 공공 토지에 기부하거나 돌려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새의 먹이로 내놓는 ‘조장’이 자연계의 선순환에 가장 가까운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사라지는 건 본능적인 거부감과 혐오때문인 것에 비추어볼 때 퇴비장에 대한 반감도 이에 못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영국 성공회 추도문에는 ‘재에서 재로, 먼지에서 먼지로’라는 문구가 있다. 시신이 사랑했던 사람을 담았던 아름다운 그릇였음을 생각해 볼 때 어떻게 떠나보내야 하며 어떻게 자연으로 순환하게 하길 바라는지 깊은 상념이 아닐 수 없다.
2022-10-04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