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LA 오페라에서 푸치니의 "나비부인"을 관람했다. 푸치니는 몇 달 전 트란도트뿐만 아니라, 라 보엠과 마농 레스코도 봤기에 어느 정도 익숙하다고 생각했다. 공연장으로 가는 동안 차 안에서 마치 선생님처럼 남편에게 질문을 계속했다. "우리가 푸치니 작품을 몇 개나 봤지? 라보엠의 내용 생각나? 중국 공주가 나오는 작품의 제목이 기억나?" 나비부인의 스토리를 이야기하면서 그 당시 유럽인들이 동양의 신비로운 세계를 동경하던 자포니즘(Japonism)이 유행이었다는 것과, 반 고흐가 일본풍을 많이 차용했다는 점을 떠올리며, 한국을 소재로 한 오페라가 없는 점이 아쉽다는 이야기를 했다. 나는 항상 공연 전날 오페라 작품을 공부한다. 내용을 이야기해 주면 남편은 그 당시의 시대적, 역사적 배경을 설명해 준다. 청일전쟁, 제1차 세계대전 등등. 그러면 나는 꼬리를 내린다.
공연 첫날이라서 그럴까? 빈 좌석 하나 없이 공연장은 만석이었고, 모두들 할리우드 영화배우처럼 드레스업하고 있었다. "당신도 턱시도를 입고 올 걸 그랬다"고 말했더니, 남편은 "내가 턱시도를 입었으면 웨이터로 알고 음식 주문할 걸"이라며 웃겼다. 파티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 부부는 "생긴 대로 살고, 느끼는 대로 즐기자"라는 결론을 내렸다.
나비부인은 1904년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공연되는 오페라 중 하나다. 2024년 LA 오페라의 나비부인은 시작부터 뭔가 달랐다. 웅장하게 펼쳐지는 나가사키 항구의 언덕 위 집을 배경으로 한 무대 장치가 우리를 압도했다. 저절로 돌아가는 일본풍 가옥의 구조는 다다미 방을 연상하게 했고, 핑커튼이 아들을 데리고 갈 때 쵸쵸상이 내민 손을 닫히는 문이 단절하는 장면은 세상과의 소통이 끊기는 듯한 느낌을 주어 가슴이 먹먹했다.
이전에는 없었던 빅스크린이 다양한 각도로 화면을 보여주어 감상에 더욱 도움이 되었다. 오페라를 보며 문득 "나비부인"에 발레를 도입한다면 어떨까 하는 상상이 들었다. 극의 감정선을 춤으로 표현하면 더욱 깊은 감동을 줄 수 있을 것 같았다. 실제로 조사해 보니, 몇몇 공연에서는 2막에 발레를 도입한 적이 있었다. 오페라에서 음악과 스토리의 조화는 발레의 움직임처럼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푸치니의 "나비부인"은 인간 감정의 깊이를 탐구하면서도 문화 간 충돌이 빚어낸 비극을 이야기한다. 이 작품을 보며 발레를 통해 그 복합적인 감정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되었다. 발레에서의 감정과 표현의 자유로움은 오페라의 드라마틱한 요소와 잘 어우러질 것 같다.
특히, 어떤 개인 날 ( Un bel dì vedremo) 는 발레 수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아리아다. 코러스가 허밍을 할 때, 아무런 노래 없이 몇 분간 벽에 서 있는 쵸쵸상의 모습은 아리아를 부를 때보다 더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듯했다. "백 마디 말이 필요 없다"는 말이 바로 이럴 때 쓰이는 것 같다며 무릎을 쳤다. 무엇보다 큰 기쁨은 쵸쵸상 역의 소프라노와 스즈키 역의 메조소프라노가 모두 한국인이었다는 것이다. 전 세계에서 한국 예술가들이 우리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그들의 노래뿐 아니라, 리얼한 연기는 눈물을 절로 흘리게 했다. 그들이 있기에 예술의 세계에 우리는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아들에게 마지막 노래를 부르는 장면에서 쵸쵸상의 절망과 고통이 너무 잘 표현되어 마치 내가 쵸쵸상이 된 것처럼 절박한 감정을 느꼈다. 나비부인의 각 장면을 발레로 표현한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계속 맴돌았다.
공연장을 나오며 아쉬움을 토로하며 또 다른 꿈이 생겼다. 아직 한국을 소재로 한 대작 오페라나 발레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나비부인"이 일본을 배경으로 한 작품인 만큼, 한국의 역사나 문화를 담은 대작이 등장한다면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나 또한 새로운 작품에 영감을 받게 되었다.
www.koadance.org www.balletjean.com
진발레스쿨
3727 West. 6th Street #607. LA CA 90020
Tel: 323-428-4429
2024-10-01 18:2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