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백악관 "정부보조금 집행 보류" 지시…법원개입으로 일단 제동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28일(현지시간) 국정 운영 기조에 맞지 않는 전임 행정부 사업 등을 걸러낸다는 취지로 연방 정부가 관리하는 보조금과 대출금의 집행을 일시 중단하려고 했으나 법원의 개입으로 인해 바로 시행하지 못하게 됐다.
2025-01-29
-
트럼프-金 '장외신경전'…"北비핵화 견지" vs "핵방패 부단강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양자 정상외교 등 정식으로 링에 다시 올라오기 전 '장외 신경전'을 펴는 양상이다. 트럼프 집권 1기 때 싱가포르(2018년)와 베트남(하노이), 판문점(이상 2019년)에서 총 3차례 만났던 두 정상이 트럼프 재집권과 함께 다시 한번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킬 정상외교에 나설지 관심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양측 모두 상대에게 호락호락하지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2025-01-29
-
트럼프 "의약품·반도체·철강 등에 관세…군사용 필요 물품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의 빅테크보다 경쟁력 있는 챗봇을 출시한 것에 대해 "바라건대 미국의 산업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의 자신의 골프클럽에서 진행 중인 공화당 연방하원 콘퍼런스에서 행한 연설에서 "중국의 일부 기업은 더 빠르고 훨씬 저렴한 인공지능 방법을 개발하기를 원한다.
2025-01-28
-
美국방, 트럼프 '불법이민 정책'에 힘싣기…"국경에 모든 지원"
피트 헤그세스 신임 미국 국방장관이 27일(현지시간) "국경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 제공될 것"이라며 남부 국경에 추가 병력 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워싱턴DC 인근 국방부 청사(펜타곤)로 첫 출근을 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힌 뒤 미군 편재 관련 법을 언급, "우리는 방향을 바꾸고 있다.
2025-01-28
-
"덴마크, 겁에 질렸다…트럼프의 그린란드 야욕 심각한 수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그린란드 장악 위협이 미국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한 협상 전략이 아니라 진지하고 심각한 수준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영국의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24일(현지시간) 지난주 이뤄진 트럼프 대통령과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 간 통화가 매우 격렬했다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2025-01-27
-
"사람들 충격 주겠다"…트럼프, '선 넘는 대통령' 약속 실천중
"우리는 사람들이 충격받을만한 일들을 할 것이다. ". 제47대 미국 대통령 취임식 다음날이며 온전한 첫 근무일인 2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 말이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47대 대통령 취임 초기 며칠간 쏟아낸 말들 중에서 가장 진실된 것으로 이 말을 꼽았다.
2025-01-27
-
트럼프 가자주민 강제이주론에 "인종청소·전쟁범죄" 비판 들불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주민들을 아랍권 국가로 이주시키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장에 '인종 청소'(ethnic cleansing)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AFP통신은 26일(현지시간) 아랍연맹이 트럼프 대통령의 강제 이주 계획에 대해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고향에서 뿌리 뽑으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고 전했다.
2025-01-27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6일 미국에 불법으로 체류하던 콜롬비아 국적자들을 태운 항공기 착륙을 콜롬비아가 거부하자 고율 관세 부과 및 비자·금융 제재 보복에 나섰다. 즉각적으로 매우 과격하고 강압적인 보복 조치를 공표함으로써 다른 국가들이 미국의 불법 이민자 추방을 거부하지 못하도록 콜롬비아를 본보기로 삼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2025-01-27
-
트럼프 행정부, 유엔에 WHO 탈퇴 통보…실제 탈퇴는 1년 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세계보건기구(WHO) 탈퇴를 유엔에 공식 통보했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파르한 하크 유엔 사무총장 부대변인은 WHO 탈퇴를 통지하는 미국의 서한을 받았다고 이날 밝혔다. 해당 서한의 송부일은 22일이다.
2025-01-24
-
트럼프발 출생시민권 격론…"사회 내 '영원한 하층민' 생길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민 규제의 하나로 추진하는 출생시민권 제한이 그렇지 않아도 분열된 미국 사회에 불쏘시개를 더했다. 미국 법원이 위헌적이라고 제동을 걸었으나 트럼프 행정부의 제한 시도가 지속되면서 격론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