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청소년기 외로움도 치매 위험 요인…노년기 치매 위험 40%↑"

    어린 시절 경험한 외로움도 치매 위험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세 이전 외로움을 경험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노년기 치매 위험이 4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도의과대학 궈슈화 박사팀은 15일 미국의사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노년층 1만3천여명을 대상으로 17세 이전 경험한 외로움과 노년기 치매 및 인지 저하 위험 간 관계를 추적 조사해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가족 갈등, 자녀 수면의 질 떨어뜨리고 저녁형 인간 만든다"

    부모가 조절할 수 있는 행동 요인들이 청소년기 자녀의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가족 갈등이 많으면 자녀가 저녁형 생활 리듬을 갖게 되고 수면의 질도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청소년 초기의 부모 관련 요인이 4년 뒤 이들의 수면 패턴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청소년 수면 건강 개선을 위한 가족 중심 개입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만성 불면증, 치매 위험 40%↑

    美 연구팀 "3. 5년 빨리 늙는 효과, 뇌 노화 가속". 만성 불면증이 있으면 뇌 노화가 가속화되고, 치매나 경도인지장애(MCI)에 걸릴 위험이 불면증이 없는 사람보다 40%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네소타주 메이오 클리닉 디에고 Z.

  • "만성 불면증, 치매·경도인지장애 위험 40% 높인다"

    美 연구팀 "뇌 노화 3. 5년 앞당기는 효과…뇌건강에 수면 관리 중요". 만성 불면증이 있으면 뇌 노화가 가속화되고, 치매나 경도인지장애(MCI)에 걸릴 위험이 불면증이 없는 사람보다 40%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네소타주 메이오 클리닉 디에고 Z.

  • 골다공증·골절 위험 높아져

    6일 폭스뉴스에 따르면 일본 나라 의과대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내분비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에서 아침을 자주 거르거나 잠들기 직전 저녁을 먹는 습관이 뼈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약 2년 6개월 동안 20세 이상 성인 92만 7130명의 참가자들을 추적해 엉덩이뼈, 척추, 팔뚝뼈 등에서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아침을 일주일에 세 번 이상 거르거나 잠들기 두 시간 전 늦은 저녁을 먹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골다공증 위험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 美 젊은 세대 주도 ‘이른 저녁 식사’ 열풍

    ‘이른 저녁 식사’가 미국의 MZ세대가 주도하는 새로운 식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8일 야후라이프는 “‘이른 저녁 식사’가 더이상 은퇴자의 전유물이라는 고정관념이 사라지고 있다”며 “요즘 젊은이들은 건강을 위해, 친구들과 가벼운 모임을 위해 오후 5시에 저녁 식사를 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있다”고 전했다.

  • 65세 이상 '낙상' 사망률 급증

    미국에서 노년층이 넘어져서 사망하는 경우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65세 이상 미국 노년층의 낙상 관련 사망률이 지난 30년 동안 3배 이상 증가했다. NYT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통계를 인용 2023년 기준 미국에서 4만1000명 이상의 65세 노년층이 낙상으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 다이어트 안했는데 체중 감소? 

    65세 이상 성인은 체중이 비의도적으로 1년에 5% 이상 감소하거나 변동하는 경우 인지 기능 저하가 떠 빨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가 4300명 이상의 고령자를 11년 동안 체중·체질량지수(BMI)·허리둘레와 인지 기능(기억력, 방향 감각, 사고 능력 등)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것으로 체중·BMI·허리둘레의 변동성이 큰 사람일수록 인지기능 저하가 더 빠르게 진행됐다.

  • 아기 울면 바로 달래야 할까?…"달래는 방식이 속도보다 중요"

    아기 울음에 대한 엄마의 반응은 초기 정서 발달에 핵심 요소로 꼽힌다. 아기가 울면 가능한 한 빨리 달래는 게 좋다는 통념과 달리 달래는 방식이 속도보다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더럼대 자나 클레이 교수와 독일 라이프니츠 교육연구·정보연구소(DIPF)의 카를로 프레덴 박사팀은 8일 미국심리학회(APA) 학술지 발달 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에서 영국 도시 지역과 우간다 농촌 지역에서 엄마와 아기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연구에서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 "담배 속 화학물질, 면역세포와 결합해 췌장암 위험 높인다"

    담배 연기 속 화학물질과 다른 환경 독소가 몸 안의 면역세포와 결합해 췌장암 위험을 높이고 증세를 악화시키는 메커니즘이 생쥐 실험에서 밝혀졌다. 미국 미시간대 로겔 암센터 티머시 프랭클 교수팀은 5일 미국암연구학회(AACR) 학술지 캔서 디스커버리(Cancer Discovery)에서 담배 속 화학물질 같은 환경 독소가 체내 특정 면역세포와 결합해 '인터류킨-22(IL22)' 분비를 증가시키고 췌장암 모델 생쥐의 종양을 더 공격적으로 성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