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미국 중국산 수입 비중 12%로 뚝…2003년 이후 최저

    미국의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8년 22%로 정점을 찍은 이후 현재 12%로 뚝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 1기 때부터 중국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인구조사국의 자료를 인용, 12개월 이동 평균 자료 기준으로 미국 수입에서 중국의 비중이 현재 12%로 떨어졌다고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연준에 쏠린 눈…시장은 9월 인하 기정사실화

    오는 9월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재개될 것이라는 시장의 전망이 커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1bp=0. 01%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93. 7%로 반영하고 있다.

  • LA항 물동량 117년 역사상 최고

    7월 LA항의 컨테이너처리량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수입업체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전 물량확보를 하기 위해 수입을 앞당긴 영향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올해 남은 기간 물동량은 더 가파르게 줄어들 전망이다. 13일 LA항만청에 따르면 7월 LA항의 처리량은 54만 3,728TEU의 수입물량을 포함해 총 101만 9,837TEU로 집계됐다.

  • 아마존 "신선식품도 당일배송" 

    아마존이 미국 내 주요 도시에서 신선식품 당일배송 서비스를 본격화한다고 13일 밝혔다. 아마존은 이날 미국 내 도시 및 마을 1천 곳을 대상으로 신선식품 당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말까지 서비스 대상 지역을 2천300곳으로 이상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 "비트코인, 하나만 있었어도…"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13일 12만3천 달러선을 회복하며 역대 최고가 경신을 눈앞에 뒀다.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5시 비트코인 1개는 12만3천3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 가격이 12만3천달러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14일 이후 한 달만이다.

  • 월간 탑승객 처음 10만명 돌파

    하이브리드 항공사를 표방하고 있는 국적 항공사 에어프레미아가 월간 탑승객 10만명을 넘어섰다.  . 에어프레미아는 지난달 항공편 399편을 운항해 10만3071명의 여객을 수송했다고 13일 밝혔다. 에어프레미아 월간 탑승객이 10만명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애틀랜타 공항서 '짐 없는 환승'

    대한항공과 델타항공이 인천-애틀랜타 노선에 릫위탁수하물 원격 검색릮(IRBS)을 정식 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 IRBS를 도입하는 항공편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해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공항으로 가는 대한항공 KE035편과 델타항공 DL188, DL026편이다.

  • '트럼프 라운드' 와 한미정상회담

    "현재의 세계무역기구(WTO)는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고 166개 회원국의 무역정책을 규제하도록 만들어졌지만, 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 미국은 이 시스템을 위해 제조업 일자리와 경제 안보를 희생했지만 다른 나라들은 필요한 개혁을 이루지 못했고 최대 승자는 국영기업과 5개년 계획을 동원한 중국이었다.

  • 롯데리아, 버거 본고장 미국 도전…풀러턴에 1호점 열어

    롯데GRS의 버거 프랜차이즈 롯데리아가 미국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롯데리아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풀러턴에 1호점을 열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11일(이하 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시범 운영을 거쳐 오는 14일 정식 영업한다.

  • "AI 인재 유출 막아라"…오픈AI, 직원에 최대 수십억원 보너스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최근 직원들에게 최대 수백만달러(수십억원) 수준의 특별 보너스를 지급했다고 정보통신(IT) 전문 매체 더버지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픈AI는 자사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 전날 보너스를 지급했으며, 대상은 연구·개발 인원 1천여명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