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어진 지 52년만 유전자 분석으로 상봉한 모녀 "추석선물 같아"
(창원=연합뉴스) 정종호 기자 = 수십 년 전 헤어지게 된 가족들이 경찰 유전자(DNA) 분석으로 추석을 앞두고 극적 상봉해 눈길을 끈다. 12일 경남 창원중부경찰서에 따르면 현재 밀양에 사는 김미정(57) 씨는 5살이던 1972년 4월께 당시 가족들과 살던 통영시 항남동 인근 항구에서 놀다 우연히 부산 자갈치로 가는 배에 홀로 타면서 가족들과 헤어졌다.
2024-09-12
-
"속도 엄청나"…행인 2명 숨진 해운대 인도 돌진 사고 직전 모습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여기서 그렇게 빨리 달려오는 차량은 첨 봤어요. ". 12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한 도로에서 벤츠 승용차가 인도로 돌진해 보행자 2명을 숨지게 한 사고와 관련해 당시 현장을 목격한 A씨는 차량이 매우 빠른 속도로 달렸다고 말했다.
2024-09-12
-
'노인 가구' 2038년 1천만 시대…2052년엔 전체 절반 넘는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가구원 수, 10년 뒤 2. 0명선 붕괴.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가구를 대표하고 생계를 책임지는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가 오는 2038년 1천만선을 넘어서고, 2052년에는 전체 가구의 절반을 웃돌 것으로 예상됐다.
2024-09-12
-
'나혼자 산다' 2037년 40% 돌파…4집 중 3집 1∼2인 가구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앞으로 13년 뒤 전체 가구에서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40%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됐다. 1인가구 증가세는 이전 추계보다 가팔라졌으며 특히 고령층을 중심으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통계청은 12일 이런 내용의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을 발표했다.
2024-09-12
-
국적항공사 기내 승무원이 인천국제공항에서 LA로 출발하기 위해 이륙을 준비하던 중 승객에게 폭행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 처리 과정에서 기내 사무장은 경찰 신고를 하지 않고 폭행 승객과 함께 LA국제공항까지 공포 분위기의 비행을 강요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적절한 대처를 하지 않았다는 비판과 논란이 일고 있다.
2024-09-12
-
'이륙 직전' 아시아나항공 기내서 외국인 승객이 승무원 폭행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인천국제공항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아시아나항공[020560] 국제선 항공기 내에서 한 승무원이 승객으로부터 폭행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아시아나항공이 경찰 신고 등을 하지 않은 채 비행을 강행, 적절한 대처를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4-09-11
-
(서울=연합뉴스) 황윤기 기자 = 축구선수 황의조(32)의 사생활을 폭로하고 협박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형수에게 징역 3년이 확정됐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3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성폭력처벌법상 카메라 등 이용 촬영·반포 등 혐의로 기소된 이모(33) 씨에게 징역 3년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지난 6일 확정했다.
2024-09-11
-
"그렇게 딸을 보낼 수는 없다"…식물인간 딸 둔 어머니의 눈물
(전주=연합뉴스) 정경재 기자 = "제 딸이 잘못되면 가해자는 살인자가 돼 지금보다 더 높은 형량을 받을 수 있겠지만, 저는 오늘 제가 죽더라도 하루라도 더 살아있는 딸의 얼굴을 보고 싶습니다. ". 11일 광주고법 전주재판부 제1형사부(양진수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A(20)씨의 중상해 혐의 항소심 공판에서 증인석에 앉은 피해자 B(20)씨의 어머니는 병상에 누워있는 딸을 떠올리며 오열했다.
2024-09-11
-
인천 1904년 이래 9월 최고기온…서울 역대 2위 기록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추석 연휴를 이틀 앞둔 12일 전국에 비가 오면서 더위가 주춤하겠다. 다만 더위가 끝나지는 않겠다. 9월 중순 때늦은 폭염이 11일 절정을 찍었다. 이날 서울 기온은 34. 6도까지 치솟아 9월 기온으론 역대 2번째로 높았다.
2024-09-11
-
응급실 사망률 높아졌다?…정부 "올해 사망, 작년보다 3% 줄어"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전공의가 집단 사직한 후 응급실 사망률이 올랐다는 보도를 두고 정부가 실제로는 사망 환자 수가 감소했다고 반박했다. 응급실 인력 부족 해소를 위해 파견한 250명 군의관의 배치가 끝난 가운데 의료 현장에서는 군의관들을 어느 과목에 투입할지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024-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