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이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체포영장 집행 시도에 대해 "불법"이라고 거듭 반발하며 형사고발과 헌법소원을 비롯한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은 8일 낸 입장문에서 "소위 '광화문 특검'(민중기 특검)이 구속 수감 중인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자행한 강제 인치 시도는 명백한 불법이자 전직 국가 원수에 대한 신체적 학대"라고 주장했다.
2025-08-08
-
"8월부터 가족 간 50만원만 송금해도 국세청이 포착해 증여세를 매긴다. " 최근 유튜브(사진)에서 확산되고 있는 동영상의 제목이다. . 한국 국세청이 은행 계좌의 소액 입출금 내역을 감시하고 세금까지 부과하고 있다는 소문이 최근 유튜브 등을 통해 확산되고 있다.
2025-08-08
-
1996년 12월, 대한민국은 세계 29번째로 '선진국 클럽'이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이 됐다. 일본에 이어 아시아 국가 중 두번째. 2021년에는 유엔무역개발회의가 한국의 지위를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바꿨다. 최근 객관적 경제 지표를 보면 더더욱 한국이 선진국이라는 확신을 갖게 한다.
2025-08-08
-
"곧 광복절인데 주문이 한마디로 제로(0)죠. ". 지난달 22일 종로2가에 위치한 국기사 '플래그몰'. 플래그몰의 사장인 이래원 대한민국국기중앙홍보회장은 이렇게 말하며 한숨을 쉬었다. 같은 날 국내 최대의 상패·휘장 제작판매 상권인 종로구 관수동 명패골목은 인적이 적었다.
2025-08-07
-
김문수 "尹 재입당 땐 수용"…안철수·조경태 "제정신이냐" 비판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김문수 후보가 7일 보수 성향 유튜버가 개최한 토론회에서 비상계엄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없었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입당할 경우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6·3 대선 때 국민의힘 대선 후보였던 김 후보의 이 발언을 두고 찬탄(탄핵 찬성)파 당권주자인 안철수·조경태 후보가 나란히 강하게 비판했다.
2025-08-07
-
특검 체포 충돌 尹측 "10여명이 팔다리 붙잡아…책임 묻겠다"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은 김건희 여사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 수사팀이 7일 완력으로 무리하게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다며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반발했다. 윤 전 대통령의 변호인이자 법률대리인단 소속 배보윤·송진호 변호사는 이날 오후 서울고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전에 진행된 체포영장 집행 시도 과정을 상세히 설명했다.
2025-08-07
-
특검, 김건희 전격 구속영장…초유 前대통령 부부 동시구속 기로
김건희 여사의 의혹들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7일 김 여사에 대한 구속영장을 전격 청구했다. 지난달 2일 현판식과 함께 수사를 정식 개시한 지 36일 만이자, 김 여사에 대한 첫 소환조사 하루만이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 1시 21분께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김 여사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2025-08-07
-
조국 '족쇄 해제' 전망…향후 정치행보에 벌써 '이목'
8·15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에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의 향후 행보에 벌써 이목이 쏠리고 있다.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쳤어도 국무회의 의결 등의 절차 등이 남아 있는 만큼 조 전 대표의 사면을 단정하기는 이르다.
2025-08-07
-
與일각 신중론에도 조국 사면 수순…李대통령 결단 배경 주목
이재명 대통령이 광복절에 단행할 첫 특별사면 심사 대상자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를 포함하기로 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여권에서는 조 전 대표의 사면·복권 필요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컨센서스가 있었지만, 시기를 놓고서는 8·15 광복절보다는 연말 성탄절을 거론하는 신중론도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다.
2025-08-07
-
법무부 사면심사위, '광복절 특사' 명단에 조국·조희연 포함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열린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가 올해 광복절 특별사면 명단에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와 조희연 전 서울시 교육감을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사면심사위는 이날 오후 2시부터 법무부 과천청사에서 회의를 열고 광복절 특별사면 및 복권 대상자를 심사한 뒤 이같이 결정했다.
202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