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사망자 속출 '백신불안' 확산…접종중단 권고속 정부 "계획대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맞은 뒤 사망한 사례가 하루가 다르게 급증하면서 백신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일선 병원과 보건소에는 백신을 맞아도 될지 문의하는 전화가 잇따르고 있고 대한의사협회는 공식적으로 독감 예방접종 1주일 연기를 권고하고 나섰다.

  • '박순철 지검장 사의'에 검찰 내부 술렁…법무부도 곤혹

    (서울=연합뉴스) 송진원 기자 = 라임자산운용(라임) 펀드 사기 사건을 수사해 온 박순철 서울남부지검장이 22일 전격 사의를 표명하자 검찰은 크게 술렁였다. 검찰 내부에서는 특정 수사를 놓고 정치권과 여론이 편 가르기를 하며 '정치 검찰'을 만들어 내는 것 아니냐는 박 지검장의 말에 크게 공감하는 분위기다.

  • 융단폭격에 작심 반격…與-검찰총장, 초유의 난타전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고동욱 강민경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22일 국회 법사위의 대검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을 향해 융단폭격을 가했다. 국민의당이 '윤석열 엄호'에 나선 가운데 윤 총장은 특유의 거침없는 입담을 앞세워 격정적으로 자신을 변호하면서 곳곳에서 설전이 벌어졌다.

  • ‘해외유입’ 코로나를 조심하라

    우즈베키스탄 66명 1위. 美 60명 2위. 세계 주요국에서 코로나19이 다시 무섭게 번지면서 한국 정부가 ‘해외유입’ 코로나 확진자 비율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우려하고 있다. 최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1주일(12∼18일) 동안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비율은 22.

  • '백신포비아'에 불안감…부모에 전화·자녀 접종 고민

    (전국종합=연합뉴스) 인천과 전북, 대전에 이어 21일 제주와 대구에서도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례가 잇따라 보고되면서 독감 백신을 둘러싼 불안감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자식들이 고령층 부모에게 전화를 걸어 접종을 말리는가 하면 영유아와 초등생을 둔 학부모는 자녀들의 접종 여부를 놓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 금태섭 탈당 파장…벌써부터 서울시장 선거판에 시선

    (서울=연합뉴스) 김동호 한지훈 기자 = 여권의 주류인 친문 강경파와 각을 세워온 금태섭 전 의원이 21일 민주당을 전격 탈당하면서 정치권에 파장을 낳고 있다. 금 전 의원은 탈당 직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향후 진로는 천천히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면서 "정치는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인천 화재 형제' 동생 끝내 숨져…상태 갑자기 악화

    (인천=연합뉴스) 최은지 기자 = 보호자가 집을 비운 사이 발생한 불로 중상을 입은 인천 초등학생 형제 중 동생이 화재 발생 37일 만에 숨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등교 수업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한 사고여서 돌봄 사각지대에 대한 안타까움을 남기고 있다.

  • 추미애, 윤석열에 '성찰과 사과' 요구…난감한 대검

    (서울=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1일 라임자산운용(라임) 사태의 핵심 인물인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에 대한 검찰 수사를 언급하면서 윤석열 검찰총장과 야당·언론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그는 윤 총장에게는 '성찰과 사과'를 요구했고, 야당과 언론에는 "국민을 속인 대검을 먼저 저격해야 한다"고 했다.

  • 독감백신 접종후 사망자 총 9명…2명 아나필락시스 쇼크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무료접종한 뒤 사망한 사람이 현재까지 9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2명의 사인은 독감 백신 접종 후유증 가운데 하나로, 전신 중증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쇼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건당국이 정밀 분석 작업을 진행 중이다.

  • "차라리 나를 안락사 시켜주세요"…65세 중증 장애인의 절규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차라리 나를 안락사 시켜주세요. ". 올해로 65번째 생일을 맞은 중증 지체 장애인 전모(65) 씨는 자신의 생일날 '죽음'을 떠올렸다. 하루 최대 16시간씩 제공되던 돌봄 서비스(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를 더는 지원받을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