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바이든 효과' 美 호감도 '껑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전 세계 주요국에서 미국의 호감도가 급상승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미 호감도는 한국이 가장 높았다.  '아메리카 퍼스트'를 기치로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에 두며 동맹 멸시 논란까지 빚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의 국제적 역할 강화와 함께 동맹 복원을 중시해온 기조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 바이든·존슨, G7회의 앞두고 '새 대서양 헌장' 발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앞두고 양자회담에 나선다.  로이터, CNN 등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과 존슨 총리가 10일 영국 남서부 콘월에서 만날 예정이다.  두 정상은 이번 회담을 통해 양국의 협력관계를 다지는 새로운 '대서양 헌장'을 발표할 계획이다.

  • '중국견제법' 통과…치열한 보복전 예상

     미국 의회에서 반도체 및 인공지능(AI) 등 핵심 산업의 공격적 육성을 위한 대(對)중국 견제법이 통과됐다.  이에 중국의 의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내정 간섭이자 발전을 막는 행위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 향후 미중간 치열한 보복전이 예상된다.

  • 중국 앱 금지 트럼프 행정명령 폐지

    중국 기업이 개발한 모바일 메신저 '위챗'과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용을 금지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폐지됐다.  9일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외국의 적으로부터 미국인의 민감한 데이터 보호'에 관한 행정명령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기존 행정명령을 취소했다.

  • 바이든 추진 '투표확대법' 좌초 위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추진 중인 선거개혁 법안이 공화당과 일부 민주당 보수파에 의해 난관에 봉착한 가운데 백악관이 투표권 보장은 국가 안보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7일 브리핑에서 강력한 미국의 투표권은 민주주의를 전 세계에 입증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로이터통신과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 과테말라 이민자들 "미국 오지 마라"

     과테말라를 방문 중인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은 7일 미국행을 꿈꾸는 중미 이민자들을 향해 "미국에 오지 말라"고 잘라 말했다.  로이터·AP통신에 따르면 해리스 부통령은 이날 과테말라시티에서 알레한드로 잠마테이 대통령과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두 정상이 "활발하고 진솔하며 빈틈없는 대화를 나눴다"며 "우리 노력의 목표는 과테말라인들이 고국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유럽 순방 앞둔 바이든 "세계 민주주의 결속"

    유럽 순방을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유럽의 동맹과 민주주의를 굳건히 하고 중국, 러시아를 견제하는 데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바이든 대통령은 6일 워싱턴포스트(WP) 기고문을 통해 "이번 순방은 미국이 동맹 및 동반자에 대한 미국의 새로워진 약속을 실현하고, 새로운 시대의 도전에 대한 대처 및 위협을 억제하는 민주주의 역량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 공화당과 협상 난항 속 조속한 타결 압박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역점 추진해온 인프라 투자 법안을 놓고 민주-공화 양당의 힘겨루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민주당이 이끄는 하원이 법안 심사에 나서기로 했다.  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초당적 타협에 실패할 경우 여당이 독자 처리를 시도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공화당에 보내 압박에 나서는 모양새다.

  • 트럼프 "중국 코로나 배상 10조달러 내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5일 정치 활동을 본격적으로 재개한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노스캐롤라이나주(州) 그린빌에서 열린 공화당 행사에서 한 시간 반에 걸쳐 연설했다고 AP통신과 일간 뉴욕타임스(NYT) 등이 보도했다.

  • 트럼프, 퇴임해도 한국 방위비 불만은 여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이 적다는 주장을 이어가며 방위비 불만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또 자신이 계속 재임했다면 이전의 5배 수준이 넘는 연간 50억 달러를 받아냈을 것이라는 취지로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