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벚꽃 아닌 눈꽃

    14일 경남 함양군 백전면의 벚나무에 밤새 내린 눈이 하얗게 쌓여있다.

  • 해양심판원, 세월호 참사 원인 '선체 복합적 문제' 결론

    2014년 발생한 세월호 참사 원인은 조타 장치 고장과 복원력 부족 등 선체 자체에서 비롯됐다는 해양심판원의 결론이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앞두고 뒤늦게 알려져 주목된다. 목포지방해양안전심판원(목포해심) 특별심판부는 사고 발생 10년 7개월 만인 지난해 11월 '여객선 세월호 전복사건'을 재결했다고 14일 밝혔다.

  • 젤렌스키, 러 미사일 공습 참사에 "트럼프, 제발 와서 좀 보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주말 러시아의 미사일 공습으로 대규모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한 데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향해 "직접 와서 상항을 보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미 CBS 방송 프로그램 '60분'과 인터뷰에서 "당신(트럼프)은 지금 이곳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이해한다고 생각한다.

  • "中 관련 비즈니스 거의 중단…145% 관세, 美중소기업에 직격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에 대한 관세 폭탄은 대부분의 미국 기업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무역 전쟁이 길어지면 피해는 되돌릴 수 없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고 CNBC 방송이 13일(현지시간) 진단했다. 공급망 전문가들은 미·중 간 무역 전쟁으로 최근 미국 기업들이 컨테이너 수출을 전면 중단하고 있으며, 중국발 화물 주문 취소와 함께 선적한 화물이 방치되는 일이 일상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 미국 고가 부동산 시장에도 '관세 한파'…거래 속속 취소

    호황을 보이던 미국 고가 주택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어떻게 흘러갈지 예측하기 어려운 데다 미국 주식시장 변동성도 매우 심해져 고가 주택을 매수하려던 부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섰다.

  • '차에서 자도 됩니다'…美 캘리포니아서 학생노숙방지법 발의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주거비 급등으로 대학생들이 살 집을 구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자 이들의 노숙을 방지하기 위해 차에서 자게 하자는 최후의 수단까지 나왔다. 13일(현지시간) 미국의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의회 코리 잭슨 의원(민주당)은 대학생들이 야간에 학교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그 안에서 잘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내놨다.

  • 오락가락 관세정책에 동남아로 공장 옮긴 美 기업들도 패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관세정책에 미국 기업들이 패닉 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트럼프 1기 때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경험한 뒤 동남아시아로 생산기지를 이전했던 미국 업체들은 이번에는 동남아 국가에도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자 더 이상 '피난처'를 찾기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

  • "관세전쟁? 국산품 쓰겠다"…中소비자 자신감 속 기업은 냉가슴

    "물건값이 비싸진 느낌이에요. 물가가 올라도 질이 좋은 수입품은 예전처럼 구입하겠지만 아무래도 전보다는 덜 사겠죠. 이런 때는 국산품을 많이 사는 게 낫다고 생각해요. ". 14일 오전 중국 수도 베이징 외곽에 있는 미국계 회원제 창고형 마트 샘스클럽.

  • 주한 미대사관, 트럼프 비자 칼바람 속 "체류기간 준수하라"

    주한미국대사관이 14일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반이민 기조에 발맞춰 "영사들과 이민 당국은 여러분의 체류 기간 초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면서 "규정을 준수하는 것은 본인의 책임"이라고 당부했다. 대사관은 이날 소셜미디어 X에 올린 글에서 "미국에서 허가된 체류 기간을 한 번이라도 초과하면 미국 여행이 영구적으로 금지되거나 과거에 비자면제 프로그램 자격 조건을 충족했더라도 향후 비자 발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하며 이렇게 밝혔다.

  • 美, '한국 민감국가' 조치 15일 발효…한미협력 차질 우려

    미국 에너지부(DOE)가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에 올린 조치의 효력이 오는 15일부터 발생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당분간 한미 간 과학기술 및 연구 협력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은 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미국의 민감국가 지정의 효력 발효 시점과 관련해 "(미국) 에너지부 내부 절차에 따르는 것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