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아내가 동성 연인에게 준 금품, 협박으로 되찾은 남편 실형

    아내가 동성 불륜 사이인 연인에게 금품을 준 사실을 알아챈 남편이 아내의 연인을 감금·협박해 금품을 되돌려받아 실형을 선고받았다. 광주지법 형사11부(고상영 부장판사)는 특수강도 등 혐의로 기소된 A(50)씨에 대해 징역 4년을 선고하고, 공범 B(42)씨에게는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했다고 23일 밝혔다.

  • "심각해도 즐겁게"…NYT, 한국 시위 깃발의 '풍자와 해학' 조명

    미국 유력 일간지 뉴욕타임스(NYT)가 한국의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석열 대통령 퇴진 요구 시위에서 등장한 유머 넘치는 '패러디 깃발'들을 집중 조명했다. NYT는 22일(현지시간) '밈과 농담과 고양이…정치 시위에 패러디를 활용하는 한국인들'이라는 온라인 기사를 통해 이번 시위에서 나타난 풍자와 해학을 분석했다.

  • "계좌 불법추적 주장" 유시민, 한동훈에 3천만원 배상 확정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가짜뉴스 유포와 관련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에게 3천만원을 지급해야 한다는 판결이 확정됐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4부(정하정 부장판사)는 앞서 한 전 대표가 유 전 이사장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유 전 이사장이 한 전 대표에게 3천만원의 위자료를 지급하라"고 지난 4일 판결했다.

  • 선관위 "'이재명 비판' 현수막 불허, 섣부른 결정…조치 보류"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은 23일 선관위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비판하는 현수막 게시를 불허한 결정을 보류했다고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불허 결정이 유효한가'라는 여당 의원 질의에 "아니다"라며 "(불허) 조치는 보류된 상태로 보면 되겠다"고 답했다.

  • 美대사 "21세기에 상상하기 어려운 비민주적 상황…안타깝다"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는 23일 국회를 방문해 국민의힘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각각 접견하고, 최근의 비상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 정국 속에서도 한미 공조는 굳건하리라는 점을 확인했다.

  • 노상원 전 사령관 수첩에 '사살' 표현도…경찰 "사실에 부합"

    '12·3 비상계엄' 기획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의 수첩에 '사살'이라는 표현도 쓰인 것으로 파악됐다. 우종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2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노 전 사령관의) 수첩에 정치인, 언론인, 종교인 등에 대해 수거 대상이라고 이야기했는데 사살이라는 표현이 있었느냐", "사실에 부합하느냐"는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 질문에 "사실에 부합한다"고 답했다.

  • 계속된 수취거절에 헌재 결론 "尹 받았다 간주"…27일 첫 기일

    윤석열 대통령이 계속해서 탄핵심판 서류를 수령하지 않자 헌법재판소가 정상적으로 송달된 것으로 간주하고 재판을 이어가기로 했다. 양측이 향후 심리 내용을 검토하고 일정을 논의하는 변론준비기일은 예정대로 27일 처음 열린다.

  • 尹측 "수사보다 탄핵심판 우선돼야…尹, 답답하다 토로"

    윤석열 대통령의 수사 변호인단·탄핵심판 대리인단 구성에 관여하는 석동현 변호사는 23일 "대통령은 수사보다 탄핵심판 절차가 우선돼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석 변호사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박근혜 전 대통령도 탄핵심판 절차가 먼저 이뤄지고, 대통령 신분을 상실한 상태에서 수사가 진행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 보증금 62억원 들고 튄 전세사기 부부, 미국서 검거·송환

    세입자 90명을 상대로 보증금 62억원을 가로채 미국으로 도피한 전세 사기범 2명이 미국에서 검거돼 20일 국내로 송환됐다. 경찰청에 따르면 부부인 A(45·남)·B(49·여)씨는 2019년 4월∼2023년 4월 대전시 일대에서 총 11채의 다가구주택을 매수한 후 이른바 '깡통 전세' 사기를 설계했다.

  • "자녀 없어도 무관" 절반 넘었다…"꼭 있어야" 10% 불과

    가임 연령대 성인의 절반 이상이 일생에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일 서울 서초구 양재 엘타워에서 '저출산·고령사회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결혼, 출산, 세대 가치관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제36회 인구포럼을 열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