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국민의힘 24%·민주 48%…尹정부서 양당 지지율 격차 최대[한국갤럽]

    더불어민주당 지지도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최대 격차로 국민의힘 지지도를 앞섰다는 여론조사가 20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17∼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 1%포인트)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도는 24%, 민주당은 48%로 집계됐다.

  • 與 탄핵 내홍 여진…탄핵 찬성의원 "왕따·이단아 취급" 주장

    국민의힘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내부 갈등의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비상대책위원장을 물색하며 당 위기 수습에 주력하는 모습이지만, 그런 와중에도 물밑에서는 탄핵 찬반을 둘러싼 내부 균열이 갈수록 심화하는 양상이다.

  • 경찰, '尹의 그림자' 경호처장 조사…경호처 "계엄 인지못해"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단이 윤석열 대통령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는 박종준 대통령경호처장을 조사한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참고인 신분이지만 경찰이 이번 사태와 관련해 대통령실 관련자를 조사한 게 알려진 것은 처음이라 파장이 예상된다.

  • '尹탄핵심판 서류' 여전히 미배달…"헌법재판관들 상황 공유"

    탄핵심판에 넘겨진 윤석열 대통령이 관련 서류를 일주일 내내 받지 않고 있어 헌법재판소가 대안을 강구하고 있다. 이진 헌재 공보관은 20일 브리핑에서 "대통령에 대한 문서 송달 현황은 어제와 동일하게 아직 미배달 상태"라며 "수명재판관들은 어제 재판관 평의에서 변론준비절차 진행 상황을 보고했고 전원재판부에서 상황 인식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 사상 첫 현직 대통령 조사 앞둔 공수처…긴장감 속 준비 착수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내란 혐의를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며칠 뒤 이뤄질 수도 있는 사상 첫 현직 대통령 조사에 대비해 긴장감 속 준비에 나섰다. 공수처는 20일 각 언론사에 영상 취재를 희망하는 경우 방문자와 차량의 정보를 사전에 제출하고 일일 방문증을 발급받은 뒤 출입해 달라고 공지했다.

  • 명태균·건진·천공…尹 위기에 기름 붓는 '브로커·역술인'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와중에 윤 대통령과 친분을 과시했던 인물들을 둘러싼 수사와 논란이 불거지면서 위기가 가중되는 모습이다. 윤 대통령의 대선 당선 전 윤 대통령과 연락하며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의심받는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 무속인 건진법사로 알려진 전성배 씨 등이 일제히 수사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 '비상계엄 국회 투입' 707특임단장…"실탄 1천920발 챙겨 출동"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에 투입된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707특수임무단의 김현태(대령) 단장이 "출동 당시 실탄 1천920발을 가져갔다"고 밝혔다. 자신은 계엄 선포 계획을 사전에 듣지 못했으며, TV 방송을 통해 처음 알았다고 주장했다.

  • 권성동 "탄핵안 기각되면 발의·표결한 국회의원 처벌해야"

    국민의힘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19일 "국회에서 통과한 탄핵소추안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될 경우 그 탄핵안을 발의·(찬성) 표결한 국회의원을 직권남용으로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권한대행은 국회에서 연 원내대책회의에서 "'무한탄핵'에 대한 국회 차원의 재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같은 내용을 담은 법안을 여야가 공동 발의하자고 제안했다.

  • 계엄 여파 아직인데…미국발 충격에 국내 금융시장 또 흔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와 폭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에 19일 원화 가치와 주가가 급락하는 등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비상계엄 사태가 탄핵 정국으로 이어지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금융시장이 대외 변수로 한 번 더 크게 흔들리는 모양새다.

  • 검찰, '계엄 체포조 의혹' 경찰 국수본·국방부 압수수색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체포조' 인력 지원 의혹을 받고 있는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등에 대해 강제수사에 나섰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19일 경찰청 국수본과 영등포경찰서·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