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임종석 "쓴소리 많이 하고 싶다"…이재명 "확장 위해 논쟁 필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문재인 정부 청와대 비서실장 출신인 임종석 전 실장이 27일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오찬 회동을 하고 정국과 당내 현안 등을 논의했다. 친문(친문재인) 인사로 대표적인 비명(비이재명)계인 임 전 실장은 지난해 국회의원 총선에서 서울 중·성동갑 출마를 희망했으나 공천에서 배제됐고 이 과정에서 친명(친명)계와 각을 세워 왔다.

  • 與, 한동훈 재등판에 "빨리 핀 꽃 빨리 시들어"

    국민의힘에서 한동훈 전 대표의 정치 행보 재개를 놓고 27일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한 전 대표가 전날 저서 '국민이 먼저입니다' 출간으로 대표직에서 사퇴한 지 두 달여 만에 재등판한 것에 대해 당 지도부 및 친윤(친윤석열)계 등에서 '섣부르다'는 비판이 나오는 반면, 친한(친한동훈)계는 적극적인 엄호에 나섰다.

  • 野 "崔대행, 마은혁 즉각 임명해야"…尹탄핵은 8인 체제에 무게

    더불어민주당은 27일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보류' 관련 헌법재판소의 권한쟁의심판 선고가 나오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향해 "즉시 마 후보자를 임명하라"고 촉구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최 대행은 헌법과 상식에 따라 당연히 해야 할 의무를 저버린 책임을 져야 하지 않는가"라며 "최 대행은 국회 권한을 침해하고 헌법에 반하는 행위를 한 것에 대해 즉각 국민께 사죄하고 오늘 즉시 마 후보자를 임명하라"고 말했다.

  • 崔대행, 마은혁 즉각 임명 안할듯…총리 탄핵 심판 결과도 고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은 위법한 행위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에도 마 후보자를 즉각 임명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권한대행이 결정문을 잘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 '마은혁 합류' 변수 생긴 尹탄핵심판…변론재개 가능성 촉각

    헌법재판소가 27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은 위법하다고 판단함에 따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일정에도 변수가 생겼다. 마 후보자가 임명돼 재판부 구성에 변화가 생기면 지난 25일 종결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변론이 재개돼 선고 시점도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 佛眼豚目 불안돈목

    부처님의 눈과 돼지의 눈이라는 뜻으로, 사물은 보는 시각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므로, 자기 기준으로만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사자성어. 26일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가 자신을 겨냥해 "계엄 등 극단적 수단을 쓸 수 있다"고 언급한 것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부처의 눈에는 부처가 보이는 것이고 개눈에는 뭐만 보인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 70억 내고 美 이민 한국인 부자 있을까

    전세계 부자를 상대로 사실상 미국 영주권을 판매한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발표에 미국 이민 관련 업계가 충격속에 빠졌다. 정책 시행령에 서명만 했을 뿐 아직 자세한 내용이 나온 상태이긴 하지만 한인 변호사 업계 등은 그야말로 '날벼락'이라는 반응이다.

  • 마크롱과 악수탓? 건강 문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에 오른손에 큰 멍자국이 관찰되면서 그 이유를 놓고 여러 추측이 나오고 있다. 그 이유를 두고 인터넷상에서는 정맥 주사 자국 내지 비타민 결핍 등 여러 추측이 나오고 있다.

  • 기아, 13만7천대 리콜

    기아가 미국에서 13만7천256대의 차량을 리콜한다.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021∼2023년형 셀토스와 소울 계열 모델 등의 차량에 쓰인 피스톤 오일 링이 잘못 제조됐을 수 있다면서 엔진손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 가주 '전기차 의무화', 없던 일로?

    미국 공화당이 연방 의회에서 캘리포니아주의 2035년 무공해 승용차 판매 의무화 정책을 폐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6일보도했다. 캘리포니아주는 2035년까지 휘발유만 사용하는 자동차의 판매를 중단키로 했으며 바이든 정부는 이 계획을 승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