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힘 통한 평화' 과시…'이란타격 도박'으로 휴전 끌어낸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도무지 끝날 것 같지 않던 중동의 최대 앙숙 이스라엘과 이란간에 전쟁의 포화를 멈추도록 하는 휴전 합의를 끌어냈다. 수십년간 으르렁거리며 갈등을 지속해온 두 나라가 트럼프 대통령의 '강권적 중재'를 받아들인 것이다.
2025-06-24
-
트럼프, 이스라엘에 "폭탄 투하 말라…그러면 중대 위반" 경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이란 양측이 모두 휴전을 위반했다면서 적대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AP,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백악관을 떠나면서 기자들과 만나 "그들은 그것(휴전)을 위반했고 이스라엘도 이를 위반했다"면서 "나는 이스라엘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2025-06-24
-
송미령(사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이재명 정부에서도 직을 이어가게 돼 화제다. 성향이 다른 정부로의 정권 교체기에도 전임 정부의 장관이 유임된 것은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 당시 이기호 노동부 장관 사례 이후 26년 만이다.
2025-06-24
-
신임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군 출신이 아닌 5선의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을 지명돼 64년 만의 '문민' 국방부 장관 시대를 예고했다. . 이 대통령이 '민간인 국방장관' 공약을 실천한 것은 군 문민화를 앞세워 고강도 국방 개혁에 본격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2025-06-24
-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집권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당 대표 선거가 친명(친이재명)계 인사들의 양자 대결로 치러질 전망이다. 4선의 정청래 의원이 한발 먼저 당 대표 선거 출마를 선언한 데 이어 3선의 박찬대 의원이 23일 출사표를 던지며 민주당 차기 당권 경쟁의 윤곽이 드러난 모습이다.
2025-06-24
-
23일 이재명 대통령이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의 김영훈 한국철도공사 기관사를 지명했다. 김 후보자는 고용부 장관 지명을 받은 이날도 부산과 김천을 오가는 ITX 새마을호 열차를 몰았다. 김 후보자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위원장 출신 중 최초로 장관 후보자에 지명됐다.
2025-06-24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밤중의 망치' 군사 작전에서 기만 전술로 이란의 허를 찌른 것처럼 외교 무대에서도 속임수를 활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2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이란-이스라엘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교적 해법에 관심을 두긴 했었는지, 이스라엘의 공격을 만류하려 하긴 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고 보도했다.
2025-06-23
-
불법이민 단속을 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LA 주방위군 투입은 정당하다는 항소심의 판단이 나왔다. 주방위군 투입이 불법이라고 판단한 하급심이 뒤집힌 것이다. AP통신에 따르면 19일 제9순회 연방항소법원 재판부는 판사 3명 만장일치로 트럼프 대통령이 LA에 배치된 주방위군 지위권을 유지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
2025-06-23
-
美항소법원 "주방위군 LA 배치 정당"…트럼프 "큰 승리" 환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법이민 단속 항의 시위에 대응하기 위해 로스앤젤레스(LA)에 주방위군을 배치한 것은 정당하다는 항소심의 판단이 나왔다. 미 제9순회 연방항소법원 재판부는 판사 3명의 만장일치로 트럼프 대통령이 LA에 배치된 주방위군에 대한 지휘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AP통신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5-06-20
-
국방부 "韓은 美동맹국 중 GDP 대비 국방비 비율 매우 높은 편"
국방부는 미국이 아시아의 동맹국들도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국방비를 지출해야 한다는 기준을 제시한 것과 관련해 "한국은 미국의 주요 동맹국 중 GDP 대비 국방비 비율이 매우 높은 국가 중 하나"라는 입장을 밝혔다. 국방부는 20일 연합뉴스의 질의에 이같이 답하고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 등 엄중한 안보 상황을 고려해 국방비를 지속 증액해 오고 있다"며 "한국은 앞으로도 한반도 방위 및 역내 평화·안정에 필요한 능력과 태세를 구비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