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된 윤석열 대통령이 LA 산불과 관련해 페이스북에 위로의 글(본보 13일자 A-3면)을 올린 것을 두고 13일 야권에서 "반성은커녕 여전히 대통령 행세를 하며 국민을 조롱하고 있다"고 비판을 쏟아냈다. 더불어민주당 이지혜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탄핵으로 직무 정지된 자가 여전히 대통령 행세를 하다니 황당무계하다"고 말했다.
2025-01-14
-
개혁신당의 내부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허은아 대표가 이준석 의원의 측근인 김철근 사무총장을 해임하면서 시작된 개혁신당의 내홍은 허 대표와 이 의원간의 막가파식 정면 대결로 격화되고 있다. . 허 대표가 12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이 의원을 향해 "상왕정치"라고 비판하자 이준석 의원이 "망상을 버리라"고 즉각 반박하는 등 두 사람은 이 과정에서 과거 언행을 들추며 서로를 비난하는 '진흙탕 싸움'을 벌였다.
2025-01-14
-
조셉 윤(사진) 주한 미국대사대리는 11일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때마다 한국은 더 강해졌다"며 "이번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윤 대사대리는 국내 비상계엄과 탄핵 국면에 대한 생각으로 "모든 정부는 부침(ups and downs)이 있기 마련"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2025-01-14
-
가수 나훈아가 비상계엄과 탄핵 소추 등으로 혼란스러운 정치권에 대해 작심 비판을 내놨다. 11일 가요계에 따르면 나훈아는 전날 서울 올림픽공원 KSPO돔에서 열린 고별 공연 '2024 고마웠습니다 - 라스트 콘서트' 첫날 무대에서 자신의 왼팔을 가리키며 "니는 잘했나!"라고 말했다.
2025-01-14
-
탄핵심판 첫 준비기일…한덕수측 "尹보다 우선 심리" 요청
국회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된 한덕수 국무총리 측은 현 정국을 "헌정사상 유례없는 이중의 공백 사태"라며 윤석열 대통령보다 자신의 탄핵심판 사건을 우선해 심리해달라고 요청했다. 한 총리 측 대리인은 13일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1차 변론준비기일에 출석해 "피청구인(한 총리)의 탄핵소추 이후 (한국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적으로 더 심각한 혼란에 직면하게 됐다"며 "헌재가 이 사건에 대한 심리와 결정을 최우선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5-01-13
-
尹측 "공수처에 尹 체포영장 집행 유보 요청…중지에 방점"
윤석열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가 1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윤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절차에 임할 수 있도록 체포영장 집행을 유보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석 변호사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변호인단이 어제 공수처를 방문해서 이 수사를 유보해달라고 정식 요청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2025-01-13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2차 집행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경찰이 '장기전' 대비에 착수했다. 인명피해나 유혈사태 없는 영장 집행을 최우선으로 하되 대통령경호처 저지 등에 가로막힐 경우 최장 2∼3일에 걸친 체포 작전까지 준비하는 것이다.
2025-01-13
-
올해 윤석열 대통령 연봉이 지난해보다 3. 0% 오른 2억6200만원으로 결정됐다. 윤 대통령은 현재 탄핵 심판 절차가 개시돼 직무정지 상태이지만, 매달 약 2200만원(세전 기준)의 월급은 계속 받는다. 12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2025년 공무원 보수 규정 상 대통령 연봉은 2억6258만원이다.
2025-01-13
-
국민의힘 34%·민주 36%…"양당 구도 계엄사태 이전으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도가 12·3 비상계엄 사태 이전으로 복귀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0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7∼9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천4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 1%포인트)한 결과 여야 지지도는 국민의힘 34%, 민주당 36%로 집계됐다.
2025-01-10
-
與, 김민전 '백골단 회견 주선' 사과…"2030 열정 폄훼 안되길"
국민의힘은 10일 당 소속 김민전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 반대 집회를 벌이는 '반공청년단'의 국회 기자회견을 주선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 "김 의원은 어제 반공청년단의 국회 기자회견을 주선했으나 논란이 되자 신속히 사과했다"며 "정확한 정보와 배경을 파악하지 못한 채 우리 당 의원이 기자회견을 주선한 것에 대해 당 차원에서도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