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22일째' 美셧다운, 역대2위 최장기록…예산안 상원서 또 부결

    미국 연방정부의 기능 일부가 중단되는 '셧다운'이 22일(현지시간) 22일째로 접어들면서 역대 두 번째 최장 셧다운 기록을 세우게 됐다. '오바마 케어' 보조금 지급 연장에 대한 공화·민주당의 이견으로 미 의회가 임시예산안 처리에 번번이 실패하면서 지난 1일 시작된 셧다운은 3주를 넘겨 계속되고 있다.

  • 백악관, 연회장 증축 비판에 발끈…"100여년간 수차례 증·개축"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랜 꿈'인 백악관 연회장 증축을 놓고 언론의 비판이 이어지자 백악관이 21일(현지시간) 건물의 '120년 변천사'를 소개하면서 반박에 나섰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전날 이스트윙(동관)을 허물면서 연회장 증축을 본격화했다.

  • '주한미군 규모 유지', 美상원통과 국방수권법안에 최종명시

    미국 상원 본회의를 통과한 2026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NDAA)에 '주한미군 규모 유지' 내용이 명시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주한미군 감축이나 역할 재조정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의회가 주한미군 규모를 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강하게 권고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트럼프, 미 전역서 열린 '노 킹스' 시위에 "나는 왕 아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미국 전역에서 진행된 '노 킹스'(No Kings·왕은 없다) 시위와 관련해 "그들은 나를 왕으로 지칭하는데, 나는 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민주당이 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을 지금까지 끌어온 게 노 킹스 시위 때문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아니다"라며 이같이 답했다.

  • 美상의, 트럼프 '전문직 비자 수수료 100배 인상'에 소송

    미국 상공회의소는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비자인 H-1B 신청 수수료를 100배 인상한 것에 소송을 냈다. 미 상의는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보도자료를 통해 "행정부가 H-1B 신청에 부과한 10만 달러(약 1억4천만원) 수수료에 법적인 이의를 오늘 제기했다"고 밝혔다.

  • "내 얼굴 사진 너무 이상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가자 휴전 협정 중재 업적을 극찬한 기사 내용에도 불구하고 사진 촬영 각도가 맘에 들지 않는다며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에 공개적인 불만을 드러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5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 지적한 사진은 다음달 10일자로 발간될 타임의 표지 사진이다.

  • 대두·식용유가 뭐길래…불 붙는 트럼프·시진핑 기싸움

    대두와 식용유가 미중 무역 갈등에 불을 붙이는 형국이다. 이들 품목을 둘러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기 싸움이 날로 고조되면서다. 중국은 미국산 대두를 트럼프 대통령의 '약한 고리'로 보고 수입을 중단했고, 농가들의 압박 속 수세에 몰린 트럼프 대통령은 보복을 경고하고 나섰다.

  • 美 공화당 MZ 간부들 채팅기록 유출…노예제·히틀러 칭송

    미국 공화당의 MZ세대 청년 간부들이 비밀 채팅방에서 정치적 반대세력을 강간하자고 주장하는 한편 아돌프 히틀러를 칭송하는 등 인종차별적 증오발언도 일삼은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밀레니얼과 Z세대 공화당원 12명이 1월 초부터 8월 중순까지 나눈 2천900쪽 분량의 채팅"을 확보했다며 이렇게 보도하면서 이들의 실명과 직함을 공개했다.

  • 셧다운을 정치보복 기회로…트럼프, 민주 지역 예산 38조원 동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회가 예산안을 처리하지 못해 연방정부 기능이 일시 정지되는 '셧다운'을 민주당 우세 지역에 대한 정치보복의 기회로 삼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14일(현지시간) 셧다운 이후 2주간 트럼프 행정부가 동결하거나 취소한 예산 지원 내역을 자체 분석한 결과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주요 도시에 집중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 죽음을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하는 시대

    최근 우리나라에서 생애 마지막에 무의미한 연명의료 대신 존엄한 죽음을 택하겠다고 서약한 사람이 300만명을 넘어섰다는 보도가 있었다. 임종 과정에서 치료 효과 없이 생명만을 연장하는 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사전연명의향서릫를 작성한 사람이 전체 성인인구의 7% 가까이에 달했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