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조금 못마땅합니다. 가랑비는 그래도 굵은 편이어서 젖는 줄 다 알거든요. 경험칙입니다. 가랑비보다 가는 비가 있어요. 이슬비입니다. 이슬비가 가늘다고 하지만 는개보다는 또, 굵답니다.
2025-09-16
-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저서 '자살론'에서 개인을 자살로 이끄는 사회적 요인에 주목했다. 자살은 개인적 요인이 아닌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인한 결과라고 본 것이다. 자살은 단순히 개인의 정신건강 문제가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빈곤이나 고립, 경쟁 등 사회적 문제로 촉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025-09-16
-
李대통령 지지율 54.5% 한달만 하락…"특검법 결렬 등 정치혼란"[리얼미터]
전주 대비 1. 5%p↓…민주 44. 3%로 0. 3%p↓·국힘 36. 4%로 0. 2%p↑.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54. 5%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5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8∼12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천5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54.
2025-09-15
-
美 이민단속 중 또 사망자 나와…시카고서 불체자 사살돼
미국 이민당국이 시카고에서 불법체류자 단속을 벌이던 와중에 체포를 피해 도주하던 멕시코인 남성을 사살했다. 12일(현지시간) 미 CNN 방송과 AP 통신 등이 국토안보부(DHS)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이날 히스패닉계가 다수 거주하는 시카고 교외 프랭클린 파크 마을에서 지나가는 차량을 정차시키고 단속을 벌였다.
2025-09-15
-
분노로 쓴 美구금일지…B1비자 근로자에 "노스코리아" 조롱도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 7일간 구금된 근로자들에게 '인권'은 실종된 단어였다. 14일 연합뉴스가 입수한 한 근로자 A씨의 '구금일지'에는 참혹했던 당시 구금시설 환경과 인권 침해 상황이 고스란히 적혀 있었다.
2025-09-15
-
미국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젊은 피' 데이비드 엘리슨(42)이 세계 최대 엔터테인먼트 기업 넷플릭스에 대적할 새 합병 기업을 탄생시킬지에 관심이 쏠린다. 엘리슨이 설립한 스카이댄스가 할리우드 메이저 영화제작사 파라마운트 인수를 성사시킨 데 이어 또 다른 전설적 스튜디오 워너브러더스를 다음 인수 표적으로 삼으면서다.
2025-09-15
-
美월풀, 한국산 세탁기 등에 "가치 낮춰적어 관세 회피" 주장
미국의 생활가전 업체 월풀이 미국에 수입되는 한국산 세탁기 등 외국산 제품들이 '언더밸류'(실제 가격보다 낮은 표시 금액을 서류에 기입하는 행위) 수법으로 관세를 회피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5-09-15
-
72명 사망 네팔 시위사태, 일단 소강…통금 해제 등 일상회복
네팔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인한 사망자가 72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전 여성 대법원장이 임시 총리로 취임, 국정에 착수하면서 폭력 사태가 일단 가라앉고 있다. 네팔 당국이 통행금지를 해제하는 등 일상 회복 조치를 취하는 가운데 수실라 카르키(73) 임시 총리는 14일(현지시간) 시위대의 부패 종식 요구를 따르고 6개월로 정해진 임기를 꼭 지키겠다고 밝혔다.
2025-09-15
-
트럼프 관세 부메랑…美기업들, 비용·불확실성 증가에 채용중단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충격으로 미국 기업들이 고용에 제동을 걸면서 노동시장 성장이 멈췄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최근 몇 달간 제조업, 도소매업, 에너지 등 분야에서 일자리가 감소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관세 대폭 인상 조치로 비용이 상승하고 불확실성 탓에 사업 확장에 나서기 어렵게 된 탓이 크다는 게 기업 관계자들의 얘기다.
2025-09-15
-
대만 15~24세 여성 46% "아이 안 낳겠다"…경제적 부담 등 이유
대만의 15∼24세 여성의 거의 절반 정도는 장래에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은 이달 초 위생복리부(보건복지부 격)가 공개한 지난해 '여성의 생활 상황 조사' 설문 자료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고,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매년 늘고 있다고 전했다.
2025-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