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김학천의 世上萬事

치과의

  • 자동차 경주

     세계 3대 스포츠를 꼽으라 하면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모터 스포츠가 있다. 모터스포츠는 한국인들에게는 덜 친숙하겠지만 유럽인들에게는 인기가 아주 높다. 그리고 모터 스포츠의 대명사는 단연코 포뮬러 원(Formula One) 월드챔피언십, 줄여서 F-1이다. 그리고 이를 대표하는 전설적 인물로는 단연 독일의 미하엘 슈마허다. 그는 월드 챔피언을 7차례나 했고 그 외 그랑프리 수상도 90여 회나 된다. 


  • 베네수엘라의 영웅

    지난 달 24일 74차 유엔 총회가 뉴욕에서 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조연설에서 베네수엘라의 대통령 마두로를 '독재자' 니 '쿠바의 꼭두각시'니 하며 맹비난했다. 헌데 그의 연설을 듣지 않고 책 읽기에만 내내 열중해 있던 여성이 있었다. 베네수엘라 유엔 대표부 소속 외교관 다니엘라 로드리게스였다.   베네수엘라는 세계 산유 매장량 1위로 남미 최고의 부유국이었지만 대책 없는 경영 실패로 국가 파산위기의 나라가 되었다. 결국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닭 한 마리 사는데도 지폐가 산더미만큼이나 필요한 지경이 되었고 폭력과 데모 그리고 극심한 기아와 질병, 사망으로 절망적인 사람들이 나라를 떠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마두로가 현직 대통령임에도 후안 과이도가 자신이 임시 대통령이라고 자처하고 나서고 이를 미국이 인정하고 있어 정치 사회적으로도 불안한 나라다. 이 때문에 올해 유엔 총회에는 마두로 정부 대표단과 후안 과이도 국회의장 측 대표단이 모두 참석했다. 총회에서 책만 읽던 로드리게스는 마두로 대통령 측 인사였다. 헌데 그녀가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을 듣지 않겠다는 저항의사로 내내 책 읽기에만 집중하던 모습이 생중계와 인터넷에 노출되면서 그가 읽던 책에도 관심이 모아졌다. 그것은 베네수엘라 출신 남미의 혁명가 시몬 볼리바르에 대한 책이었다.     베네수엘라 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열여섯 살에 스페인으로 유학을 떠났다가 3년 후 다시 돌아왔다. 그리고 스페인에 맞서 조국의 독립뿐만 아니라 남미의 독립을 위해 운동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등 5개국이 줄줄이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이 후 이들을 모두 통합해 '대 콜럼비아 공화국'을 꿈꾸었으나 이루지 못하고 47세 짧은 생을 마쳤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비록 민중들 보다는 엘리트에 의한 통치를 따랐기 때문에 독재자냐 아니냐는 논란이 있긴 하지만 그는 해방자로서의 숭고한 명예만을 원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권력과 부를 탐닉하지 않았던 만큼 추앙받기도 한다. 해서 그의 이름은 볼리비아 국가 명으로부터 여러 남미의 도시들의 공항이나 광장, 거리, 건물 등 다양한 분야에 남아있다.  한 예로 1975년 경제학자이자 아마추어 음악가인 호세 아부레우 박사는 범죄를 예방하고 미래를 키워주기 위해 베네수엘라 수도 빈민가 차고에서 10여명의 극빈청소년을 모아 음악팀을 만들었다. 우리가 익히 들어 아는 '엘 시스테마'의 출발이었다. 35년이 지난 오늘날 엘 시스테마의 규모는엄청나게 성장했다. 엘 시스테마가 배출한 인물 중 하나가 LA 필하모닉 상임지휘자 구스타보 두다멜이고 재단 산하의 많은 오케스트라 중 하나가 바로 시몬 볼리바르 유스 오케스트라다.   로드리게스는 트럼프 연설 후 트위터에 책 표지 사진을 올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인 혐오와 제국주의로 가득 찬 연설로 유엔을 모독하는 동안 나는 바로 이 책을 읽었다. 제국주의에 굴복하지 않는 베네수엘라 국민 만세! '라고 적었다. 국가와 민중을 위해 헌신했던 혁명가를 추모하고 기억하려는 또 다른 방식이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 일본 '연호'의 비밀

     우리가 흔히 중국의 강희제니 일본의 메이지 유신이니 말 할 때의 왕의 치세를 뜻하는 연호(年號)는 기원전 중국에서 유래해 동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돼 왔다. '황제는 시간도 지배한다'는 사고에 의해 왕의 권위를 높이는 데 쓰였던 거다. 중국은 한무제의 '건원(建元)'으로 시작해 청나라 말 '선통'을 끝으로 폐지했다. 한국에서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영락(永樂)'으로부터 대한제국의 '광무(光武)'까지 사용했다.


  • 홍콩의 가면

     지배권력에 대한 저항의 상징은 멀리로는 스파르타카스에서부터 프랑스의 삼색기, 간디의 비폭력 저항 그리고 반전과 평화에 대한 밥 딜런의 저항 음악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저항의 대표적 아이콘이라 하면 '가이 포크스'다. 


  • 황금변기

     황금은 예로부터 힘과 권위를 상징했다. 왕관이라든가 궁전의 장식, 사원과 불상 등이 그렇다. 아무리 그렇다 한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불결하게 여기는 변기에마저 황금을 사용하는 것은 지나치게 자신의 힘을 과시하는 정점일 것이다.  


  • 시집가게 내버려 두라?

     옛날 중국에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자란 주요종이란 인물이 있었다. 총명함과 불굴의 노력으로 과거에 장원급제했다. 외모도 수려해 황제가 부마로 삼고 싶어 했다. 황제가 소원이 무엇이냐고 묻자 주요종은 젊어서 홀로 되어 자신만을 돌봐준 어머니에게 열녀문을 세워드리는 것이라고 하자 황제는 이를 허락하였다. 


  • 빗나간 부자 아빠의 권리     

     백악관의 최고 실세 재러드 쿠슈너 고문은 하버드 대학을 나왔고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다. 그야말로 금수저로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는 총체적 행운아다. 하지만 이 모든 행운이 부모를 잘 만난 덕분이라 할 수 있다. 실력이 부족한데도 부동산 재벌인 아버지가 하버드에 250만 달러를 기부해 입학할 수 있었다고 한다. 부의 지위가 세습되어 유지되는 사례다. 


  • 적반하장 '오역'

     1977년 카터 대통령이 폴란드를 방문했을 때 공항에서 '폴란드 국민의 열망을 알고 싶다고 인사했다. 하지만 이는 엉뚱하게도 '폴란드 사람에게 욕정을 느낀다'로 통역돼 망신을 당한 적이 있었다. 이러한 오역은 해명과 사과로 해결될 수도 있는 경우이긴 하나 우연한 실수나 오역이 엄청난 역사의 결과를 야기한 경우도 많다.  


  • '나랏말싸미…'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새 이런 젼차로 어린 백성이 니르고져 배이셔도 마참내 제뜨들 시러 펴디 할노미 하니라. 내 이랄 위하야 어엿비 녀겨 새로 스물여듫짜랄 맹가노니 사람마다 해여 수비 니겨 날로 쑤메 편안 하고져 할 따라미니라' 훈민정음 서문이다. (옛 글자로 된 문장을 발음대로 옮김)  


  • 테슬라의 선물

      발명왕 하면 흔히 우리는 에디슨을 떠올린다. 우리의 생활을 더 나은 삶으로 편하고 안락하게 해준 수 많은 발명 중에서도 특히 전기를 빼 놓을 수 없다. 당시 에디슨이 발명한 전기는 직류 시스템이었다. 헌데 직류로 송전하는 데에는 엄청난 비용과 전력손실이 많은 문제가 있었다. 


  다른칼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