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임지석의 동서남북

수필가, 목사

  • 절망 중에도 희망을

     런던에 사는 한 남자는 43세에 시력을 잃게 되었습니다. 그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아내와 아들도 세상을 떠나면서 인생에서 가장 힘든 나날을 보내야 했습니다. 거기에다 그를 반대하는 세력에 의해 감금되면서 자유도 잃어버렸습니다. 주변 사람들은 이처럼 한순간 모든 것을 잃은 모습을 보고는 그가 실의에 빠져서 탄식하다가 죽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 약점은 결코 약점이 아니다

     어느 마을에 한 소년이 살고 있었는데 그는 남들보다 키가 작다는 이유로 늘 놀림을 당하곤 했습니다. 그런 와중에 소년의 부모는 어린 나이에 있던 그를 강제로 사관학교에 보냈습니다. 그는 사관학교를 졸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신체적인 핸디캡으로 인해서 장교로 임관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누구를 원망하거나 자신의 육체적 결함을 비관하지 않고 고향으...


  • 꿀벌의 정신

    벌집은 육각형의 구조가 모여져서 만들어집니다. 벌집의 주인이라 할 수 있는 꿀벌들은 우리 사회와 비슷하게 공동체를 이루며 산다고 합니다. 꿀을 모아 오는 것은 물론 정찰을 하거나 일을 하는 벌들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한다는 말입니다. 다시 말해서 꿀벌 외에도 정찰 벌 일벌 등이 분업을 해서 함께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먼저 정찰 벌을...


  • 화가 나면 열까지 세라

     살다 보면 사람이나 부딪히는 상황으로 인해서 주체하지 못 할 정도로 화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화를 다스리지 못하면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만 화가 나는 순간을 지혜롭게 잘 넘기면 좋은 결과가 나타납니다. 화를 다스리는 데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는데 화가 날 때는 일단 후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입니다. 순간적으로 화가 날 때 이를 다스릴...


  • 생존을 위한 낙타의 지혜

     낙타는 느릴 뿐만 아니라 아무것이나 닥치는 대로 먹기로 알려진 동물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낙타에게서 배울 수 있는 지혜가 한 두 가지가 아니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생물이 살아가기에 최악의 조건인 먹힐 염려도 없고 먹을 것도 없는 사막에서 어떻게 생존할 수 있을까요?  낙타가 보여주는 첫 번째 생존 전략은 '정공법'...


  • 물고기의 부성애

     제주도 연안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농어목 동갈돔과에 속한 줄도화돔이라는 물고기가 있습니다. 이 물고기는 수컷이 특이한 부화 방법을 통해서 새끼를 키우는 부성애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암컷이 알을 낳으면 수컷은 그 알을 자신의 입에 담아 부화를 시킵니다.  알에서 부화한 후에도 새끼들이 독립된 생활을 할 때까지 그들을 입안에 머금으...


  • 순록의 태풍

     크리스마스 선물이 가득 담긴 산타크로스의 썰매를 끌며 멋진 뿔을 자랑하는 순록이 있습니다. 순록은 주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의 북극지방에 서식하는데 간혹 이해할 수 없는 특이한 행동을 합니다. 외부로부터 위험을 감지하면 바로 수백 마리의 순록 떼가 한데 모여서 원을 그리며 뱅뱅 도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그 모습이 태풍과 비슷하다 해서 &#3...


  • 새로운 높이뛰기의 시작

    '포스베리 플롭'이라는 스포츠 용어가 있습니다. 이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높이뛰기 종목의 한 기술로서 '배면 뛰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선수들은 이 기술이 선보이기 전까지 대부분 앞으로 뛰어넘는 기술만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리처드 딕 포스베리라는 한 무명 선수는 지금까지 하던 것처럼 앞으로 넘지 말고 뒤로 넘어 ...


  • 작은 습관이 변화를 일으킨다

     그는 가진 것 없이 미국으로 건너와서 스무 살의 젊은 나이에 명성을 얻는 작가가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잘 알려진 여성 잡지 '레이디스 홈 저널'의 편집장이 된 에드워드 윌리엄 보크의 이야기입니다. 네덜란드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6살의 나이에 미국에 왔는데 그가 고향을 떠나기 전 할아버지가 한마디 충고를 해주었습니다. &nbsp...


  • 코뿔소와 할미새

     동물의 세계에서 공생은 생존을 위한 필수 선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도 코뿔소와 할미새의 공생 관계는 우리에게 교훈하는 바가 적지 않습니다.  단단한 피부와 날카로운 뿔로 적을 향해서 돌진하는 코뿔소는 어떤 천적이 나타나도 맞설 수 있을 만큼 강해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코뿔소에게도 심각한 약점이 있습니다. 조금 떨어진 거...


  다른칼럼들